뉴스
"기사"(으)로 총 6,5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체험디렉터 추천 과학체험 100] (3) 국내 최대 청소년 공연예술축제 ‘제13회 서울 아시테지 겨울축제’동아사이언스 l2016.12.22
- (기사보기) (5) 전국 40개 과학관/전시관 무료 및 할인 입장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기사보기) 서울 아시테지 겨울축제 제공 ● 국내 최대 아동·청소년을 위한 공연예술축제, 「제13회 서울 아시테지 겨울축제」 - FD 한줄평 “자녀가 협동과 공유의 가치를 경험하길 원한다면 꼭!” 세계 ... ...
- [사이언스 지식IN] ④ 독감, 재발하기도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부모님이 계시면 본인이 본인이 바이러스 숙주 역할을 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관련 기사 ☞ [사이언스 지식IN] ③ 독감 걸리면 죽을 수도 있나요? ※취재팀주 예년보다 빠른 독감때문에 난리입니다만. 사람들에게 빠르게 알려져야 할 독감 정보들이 다른 이슈에 묻혀 전해지지 못하고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1932.12.23 ~ 2016. 6. 2)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이론물리학자 영국 신사 톰 키블은 2014년 기사작위를 받았다. - Thomas Angus/ICL 제공 201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선정위원들은 역대 위원들 가운데서도 아마 가장 난감한 처지였을 것이다. 2012년 힉스입자가 검출된 뒤 그 이론적 바탕이 되는 힉스 ... ...
- [현장체험디렉터 추천 과학체험 100] (2)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를 위한 미디어아트 ‘뉴 게임플레이’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기사보기) (5) 전국 40개 과학관/전시관 무료 및 할인 입장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기사보기) 뉴 게임플레이 제공 ● 백남준아트센터 미디어 아트 기획전, 「뉴 게임플레이(New Gameplay)」 - FD 한줄평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들의 관심을 미디어아트로 승화시킬 수 있는 전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2016.12.20
- 따라 소개한다. 지난 1월 24일 작고한 마빈 민스키의 경우는 1월 27일자 동아사이언스 기사로 대신한다. ★ 일카 한스키 (1953. 2.14 ~ 2016. 5.10)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생태학자 일카 한스키. - Linda Tammisto/헬싱키대 제공 요즘 과학계에는 ‘메타’라는 접두어가 유행인 것 같다. 물리학에는 ... ...
- 조류독감, 사람에게 전염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앞서 가장 궁금했던 ‘먹거리’에 대한 걱정을 내려놨으니(관련기사 ☞ 조류독감인데, 치킨 먹어도 되나요?), 이젠 직접적인 ‘감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전염을 막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뭐니뭐니해도 ‘예방’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는 ... ...
- [현장체험디렉터 추천 과학체험 100] (1) 환상적인 디지털 테마 파크 'teamLab World'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기사보기) (5) 전국 40개 과학관/전시관 무료 및 할인 입장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기사보기) 백년해도권 애니메이션 디오라마 - teamLab World 제공 ● 과학자와 예술가가 함께 만들어낸 환상적인 공간, 디지털 테마 파크 「teamLab World」 - FD 한줄평 “체험형 미디어 아트 전시 중 그래픽 ... ...
- “미인도는 진품”…컴퓨터 영상분석, DNA 분석 등 과학기법 총동원 결과동아사이언스 l2016.12.19
- 넘어갔다고 밝혔다. ※미술품 감정에 어떤 과학적 방법이 사용되나가 궁금하면 다음 기사 참조 ☞ 천화백 별세…끝나지 않은 ‘미인도’ 위작 논란 ... ...
- 퀀텀닷(양자점), 빛으로 손쉽게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9
- 황화카드뮴으로 만든 양자점. (기사 내용과는 관련 없음)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김광석 부산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팀은 나노 크기의 두 양자점(Quantum Dot) 사이의 결합을 전기가 아닌 빛으로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자점은 지름 수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따라 소개한다. 지난 1월 24일 작고한 마빈 민스키의 경우는 1월 27일자 동아사이언스 기사로 대신한다. ★ 해리 크로토 (1939.10. 7 ~ 2016. 4.30)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화학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화학자 '해리 크로토' - 위키피디아 제공 자기 분야에서는 꽤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