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민족의 염원을 보관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보호해 줄 수 있는 옻칠을 한 세계에서 유일한 대장경이기도 합니다.이렇듯 팔만대장경
자체
도 훌륭한 문화재지만 더 훌륭한 자랑거리는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각입니다. 1995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문화재가 대장경판이 아니라 장경각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 ...
'내 사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전시된 로봇 모형을 그냥 구경만 하고 있어도 신난다. 각각의 로봇
자체
도 재미있지만 우주탐험, 로봇의 발전역사, 가전제품 로봇 등 주제별로 묶어 놓은 디오라마는 정말 눈을 즐겁게 해 준다. 로봇박물관에서 특히 눈길이 가는 곳은 자녀의 손을 잡고 온 부모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한국과 일본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가뭄과 폭염, 적조현상을 해소해 주기도 해요.이처럼 이로운 면도 있지만, 태풍은 그
자체
가 변화와 혼돈으로 가득하기 때문에 예측하기가 쉽지 않아요. 게다가 지구온난화로 태풍의 힘이 강해지고 진로가 더 불규칙해진다면 우리에게 더 큰 피해를 줄 것입니다. 따라서 정교한 *수치모델링으로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나오는 신호를 크게 증폭시켜야 한다 전자를 고체표면에 충돌시키면 충돌한 전자
자체
의 반사 외에 충돌한 전자에서 고체 내의 전자에 에너지가 주어져 새로 고체 내의 전자가 표면에서 튀어나오는 현상을 2차전자방출이라고 하며 이 현상을 이용해 미소한 광전자류를 증폭하는 전자관을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주식거래에는 반드시 리스크가 따른다”며 (투자자 입장에서) “금융공학은 주가
자체
를 예측해주는 게 아니라 어떻게 투자하는 게 최적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경제·경영예측연구실의 차경천 박사도 주가 예측이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11월 2일자 기상표는 실제로 경보가 발령됐다고 기록하고 있다.대한제국도 이 무렵부터
자체
적인 기상관측사업을 시작한다. 1907년(광무11년) 1월 평양과 대구측후소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했으며 2월1일에는 황제가 직접 기상관측을 독려하는 칙령을 내리기도 했다. 같은 날 경성에도 측후지소가 문을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때부터는 통증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것. 칼슘이 너무 많아지면 감각신경세포
자체
가 파괴되기도 한다.이에 1990년대 캅사이신을 진통제로 쓰자는 움직임이 있었다. 실제로 다국적 제약회사 로슈는 먹는 진통제로 개발하기 위해 캅사이신과 비슷한 물질을 합성하기도 했다. 그런데 문제가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 좋고 성형성(成型性)도 우수하고, 기어 등으로 만들 때 무음성(無音性)이고 재질(材質)
자체
가 윤활성을 가지며, 무독성(無毒性)이라는 등 뛰어난 성질을 지니고 있다반면에 열팽창 · 수분에 의한 치수정밀도의 불충분함, 내산성(耐酸性) · 내광성(耐光性)이 약한 점 등의 결점이 있으나 근년에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대학보다 지방 대학이 훨씬 더 몸살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지방 대학의 경우 물리학과
자체
가 사라지거나 심한 경우 물리학과를 없애라는 압력을 받기도 한다. 대구 인근 대학의 경우 대구가톨릭대는 자연대와 공대 어디에도 물리학과가 존재하지 않고, 대구대나 영남대는 대학원의 규모가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듬해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표하자 모든 것이 선명해졌다. DNA의 구조
자체
가 그것이 왜 유전자일 수밖에 없는지를 설명해줬기 때문이다. 에이버리는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1955년 그가 사망하기 전까지 그의 발견이 얼마나 중요한지 누구도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