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이 필요했다.마침내 1964년 허문회 서울대 교수가 필리핀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새로운 벼 품종 개발에 나섰다. 허 교수는 자포니카와 인디카의 혼합종에 관심을 가졌다. 안남미라고 불리는 인디카 종은 자포니카 종보다 생산성은 높지만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잘 자라지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습니다. 학교에 남아서 연구를 계속 하거나, 선박연구소나 국방과학연구소 같은 연구소에서 일을 할 수도 있습니다.연구와 기업의 중간 형태로 선급협회에서 일할 수도 있습니다. 선급협회는 상선의 등급을 매기고 선박의 자격을 심사하는 세계적인 항만회사들의 모임입니다. 조선해양공학과 ... ...
- 사카린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카린이 인체에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과학적 사실이 명백해지면서 국제암연구소도 ‘인체 발암성을 의심할 수 없는 물질’을 뜻하는 ‘3군’으로 분류를 변경했다. 미국 FDA도 사카린에 대한 거의 모든 규제를 폐지했다. 한국 식약처가 이번에 사카린의 사용 범위를 크게 확대한 것도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산화제를 뿜어내는 액체로켓엔진의 핵심부품이다. 핀틀 인젝터는 1950년대 NASA 제트추진연구소가 개발한 것으로, 대형 노즐 하나를 사용해 기존 인젝터보다 싸고 안정적이다. 스페이스X의 개발자 탐 뮐러가 바로 핀틀 인젝터를 개발한 책임자였다. 그는 이 기술을 적용해 고효율 엔진을 짧은 기간에,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이것이 자극제가 돼 수 년 만에 국내의 여러 대학교와 연구소에서 레이저-플라스마를 이용하는 차세대 가속기 연구를 하는 상황이 됐다. 대표적인 예로 필자가 있는 GIST에서는 현재 세계 최고 출력인 페타와트(PW, 1PW는 1015W)를 사용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우리 ...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발견되는 패턴의 형성 과정을 수학적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스페인 카탈란연구소(ICREA)의 제임스 샤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배아의 손가락 형성 과정도 ‘튜링 메커니즘’을 따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앨런 튜링과 함께 그 주인공을 만나 보았습니다.튜링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미국 펜실베니아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였던 존 모틀리와, 졸업생인 존 에커트가 미국방부 연구소와 계약을 맺고 연구하던 중 탄생했다. 두 사람은 일명 ‘자동 기계’를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각의 과정을 거쳤다.➊ 사람은 계산을 10진법으로 한다.➋ 10진법 연산은 2진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➌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4 : 00 이매지너리 전시 관람점심식사를 마친 독자기자단이 향한 곳은 대전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옮겨온 이매지너리 전시장이었다. 이미 많은 사람들로 가득 차있는 이 곳에는 수학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과 전시가 기다리고 있었다. 특히 수학과 관련된 게임을 할 수 있는 TV 앞에는 많은 학생들이 ...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해파리의 움직임에 수학적 패턴이 숨어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영국 로댐스테드 연구소 앤디 레이놀즈 박사는 배럴 해파리들이 먹이를 찾아 움직일 때, ‘레비 워크’라는 수학적 패턴을 따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프랑스의 수학자 폴 레비의 이름을 딴 레비 워크는 한 지역에서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통과한 후, 해수면이 가장 높아질 때까지의 시간을 각도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국립해양연구소의 조류 예측 결과와 난중일기 토대로 밝혀진 당시 교전 상황을 결합하면, 당시 울돌목에서 일어났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다. 1597년 음력 9월 16일 오전 6시 30분 경 바닷물은 썰물에서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