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남겼다. 하지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해부도는 그의 사후 2백년이 지나서 알려지는
바람
에 해부학 발전에 전혀 공헌을 하지 못했다. 공헌 여부를 중시하는 서양인은 지금도 베렌가리우스의 해부도를 최초의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목숨 걸고 시체 훔친 해부학의 아버지교통이나 통신수단이 ... ...
제트엔진 소음 없는 비행기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시험부에 넣고,
바람
을 불어넣어 실제 비행과 똑같은 조건을 만들어준다. 각 부위의
바람
속도는 레이저를 쏘아 돌아오는 데이터를 분석해 얻는다. 실험 데이터들을 모으면 어느 속도에서는 어떤 모양의 비행기가 돼야 하고 날개는 어떤 모양이 가장 소음을 적게 발생시키는지 알 수 있다.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갖추지 않는다. 자극이 있은 후 20분 정도가 경과한 후에야 잎을 연다. 이는 살랑이는
바람
이나 작은 곤충과 같은 불필요한 자극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을 벌고자하는 속셈이다. 결국 식물들이 극단의 환경에 처하게 되면 공격의 대상이 곤충을 넘어설 수도 있지 않을까.식물이 동물과 같이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부쓰는 어느날 미국인 발명가가 만든 청소기를 보고 생각에 잠겼다. 그 청소기는 강한
바람
을 내뿜는 모터를 사용해 먼지와 쓰레기를 집진기 안으로 불어넣는 장치였다. 부쓰는 이 장치를 보면서 공기를 내뿜는 게 아니라 빨아들이는, 요즘과 같은 진공청소기를 생각했다.사교계의 자랑거리가 ... ...
② 비행기 한대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무너지게 된 단서는 충돌한 비행기가 아니라 건물재료로 쓰인 철이다. 철은 지진이나
바람
과 같은 외력에 강하지만 화재로 발생하는 고열에 약하기 때문이다.튜브 구조의 철골 고열에 약해납치된 비행기는 건물에 부딪치며 강한 외력을 가했지만, 이 영향은 건물을 무너뜨릴 만큼 크지 않았다.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현장스케치를 통해 만나보자.여러차례 국내외 학회를 운영하면서 한가지 소원 아닌
바람
이 있었다.다름아닌 한국의 풍속화를 한번 학회 포스터로 활용하고 싶은 것. 우여곡절 끝에 이번 학회를 주관하게 됐는데, 이번 학회의 주제는 한국의 풍속화와 너무나 동떨어져 보이는 블랙홀.하지만 뜻이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폐수에서 에너지 만든다최근 환경보전기술 연구에서 새로운
바람
이 불고 있다. 지금까지 환경보전기술은 발생한 환경오염물질을 무해하게 처리하는 분야가 대부분이었다. 이 때문에 환경보전기술은 제품(product)을 생산하지 않는 유일한 공학 분야란 말을 들어야 했다. 다른 ... ...
풍선으로 만든 축구공 분자모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60개이고 모서리가 90개인 삼십이면체이다. 가죽으로 이런 다면체를 만들고 내부에
바람
을 넣으면 축구공이 완성된다.이 실험은 특별한 과학원리를 이용해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간단한 재료로 이와 같이 복잡한 다면체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최근의 과학계에서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상층에서 서풍이 불고, 하층에서 동풍이 불어도 회전이 생긴다. 이처럼 상층과 하층의
바람
의 세기나 방향의 차이 때문에 윈드쉬어(wind shear)가 발생해야 적란운 밑에 강력한 공기의 회전현상이 일어나면서 깔때기 구름, 즉 토네이도가 생긴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토네이도는 적란운과 지표 사이에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많기 때문에 ‘달궈진 몸’을 식히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해야 한다. 결국 약한
바람
에도 흔들리는 잎은 과도하게 달궈진 잎의 열을 식히는 동시에 뿌리로부터 잎으로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생존의 한 방식이 아닐까.거목 밑에 잔솔 크지 못한다소나무 뿌리에서 나오는 독성물질훌륭한 부모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