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간단
단일성
빈약
d라이브러리
"
단순
"(으)로 총 3,085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전문적인 일로 매우 고급의 정보가 요구되는 행위인데, 이것을 일반인이 다룰 수 있는
단순
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하여야 한다는 모순된 상황이 컴퓨터진단의 미래를 낙관할 수 없게 만든다.컴퓨터는 인류가 문자를 발명한 것에 필적할 만한 발명품이다. 과거에 문자가 그러했듯이 미래의 모든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모두를 사전에 올릴 수 있고, 따라서 단어의 인식은 사전에 있는 형태와의 일치라는
단순
한 작업이다.그러나 우리말의 '걷다'에는 수많은 어미가 붙어 쓰일 수 있어(걸어 걷게 걷고 걷지 걸으니 걷니 걷다가 걸으면서 걷사오니 걸으십시오 걸어요 걸어라 걷자…) 이것들 모두를 사전에 올릴 수는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매지네이션관이 바로 그것.이매지네이션이란 인간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의미한다.
단순
한 공상이 아니라 창조행위를 가능케 하는 인간의 주체적인 사고를 말한다. 인간은 새가 나는 모습을 보고 비행기를 만들어냈으며, 밤하늘의 별들을 보면서 우주탐험의 의지를 키웠다. 자유로운 상상력이 ... ...
시각인식의 알파벳을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있다. 실험은 원숭이에게 여러가지 형태와 색상의 콘트라스트로부터 이루어지는
단순
한 그림을 보여주고, 원숭이 IT의 신경세포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전기생리학적으로 조사했다.그 결과 IT에는 이와 유사한 패턴에 대해 반응하는 세포의 집단이 열을 지어 늘어서는 것을 알아냈다. 즉 IT의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마음의 여러 복잡한 현상도 그 근저에는 비교적
단순
한 기본 단위가 자리잡고 있는지도 모른다. 더구나 컴퓨터 기술 및 새로운 정보이론이 발달하면서 부분적으로나마 사람 마음의 움직임까지 흉내낼 수 있게 되자, 마음을 하나의 정보처리장치로 보는 시각이 점차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입술의 모양에 따라서는 원순모음과 평순모음으로 구분한다.이런 기준에 따라 한국어의
단순
모음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자음은 조음점과 조음방법, 그리고 성문의 상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우리말을 중심으로 이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조음점에 의한 분류이 분류는 고정부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또 조정을 해주어야 한다.경위대식 망원경은 적도의식 망원경보다 그 구조 및 부품도
단순
하므로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아마추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알루미늄이나 목재 삼각다리에 독일식 적도의 가대와 굴절망원경을 부착한 천체망원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형태의 천체망원경도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같은 지시물과 피지시물의 관계를 그 개가 이해했는지는 알 수 없다.원숭이 울음 소리가
단순
한 '소리'의 영역을 넘어 '언어'가 되는 것은 일종의 전환(轉換)이 생긴 때가 아닐까. 과거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있던 심리학자 프리맥(David Premack)이 말한 바대로 그 음성이 가진 본질이 '소리' 그 자체인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환경을 덜 삭막하고 보다 쾌적한 곳으로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단순
한 기호차원에서가 아니라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색채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러면 저절로 우리 생활에 아직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색채미신이 사라질지도 모를 일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보다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나온 35㎜ 콤팩트 카메라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35㎜ 카메라의 복잡한 조작법을
단순
화시켜 누구든지 파인더를 보고 피사체를 결정한 후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즉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3, 4단계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파인더에 들어오는 인물이나 풍경 등을 카메라 파인더 안에 그려진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