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꿈"(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코스모스 등 10여권의 대중과학서를 펴내 과학저술가로 이름을 떨친 칼세이건은 마리너, 바이킹, 보이저 등 우주탐사 계획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천문학자다. 학자로서의 그의 최근 업적을 되돌아본다.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도 대부분 세이건을 단지 ‘코스모스’라는 책의 저자 정도로 ... ...
- 과학윤리과학동아 l1997년 02호
- 도용했다.” 1993년 8월호 : “뱀이 자기 꼬리를 물고 있는 듯한 벤젠 고리구조를 꿈을 통해 생각해낸 케쿨레는 독일의 민족주의자였다. 그래서 그는 오스트리아나 프랑스, 스코트랜드 등의 연구원들이 해놓은 이전 연구들을 참조하려고 하지 않았다.” 1993년 11월호 : “연구원들은 종종 부정행위에 ...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시작할 때, 이 오래된 적들은 우리를 지배할 것이다.”그러나 세이건은 과학을 잘 알고, 꿈이 있고 낭만을 지닌 사람만은 아니었다. 그는 무척 돈과 상을 밝혔다고 한다. 그는 코스모스라는 TV시리즈로 6천만달러 이상 벌었다고 고백한 바 있다. 또 왜 그렇게 돈을 밝히냐는 주변 사람들의 질문에 ... ...
- 3. 개인용로봇과학동아 l1997년 01호
- 인간과 로봇이 투쟁을 벌인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대 신화로부터 시작된 ‘인간의 꿈’ 로봇은 인간이 하기 힘들고 어려운 일을 대신해주는 자동화 기계였다. 이는 근대의 산업혁명으로부터 시작된 생산 혁명과 맞물려 대량의 자동화 기계를 배출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고정밀, 고생산성의 ...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과학동아 l1997년 01호
- 그러나 헤비메탈에는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데…. “식물도 음악을 감상한다?” 꿈속에서 본 이야기 같이 들릴지 모르지만 과학의 수단으로 식물도 음악을 듣는다는 사실이 하나하나 증명되고 있다. 움직이지 않는 식물은 하나도 없다. 다만 움직임이 동물에 비해 너무 느려 눈치 채지 못할 ... ...
- 4. 로봇과학자가 되는 길과학동아 l1997년 01호
- 희망의 상징이자, 언제나 곁에 함께 있는 친구였다. 그러나 국내에는 그 많은 어린이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가르치는 ‘로봇학과’란 어느 대학에도 개설돼 있지 않다. 이는 외국에서도 마찬가지. 그렇다면 현재 활동하고 있는 로봇과학자들은 모두 하늘에서 떨어졌다는 말인가.대학에 ... ...
- Ⅰ. 현지취재, 미국 라인연구센터과학동아 l1997년 01호
- 가는 환자…흰옷을 입은, 의사 옷같은…" 베센트가 묘사한 내용이었다. 세번째 꿈에서는 느낌을 기록했다. "사람들의 적대감…내 느낌으로 그들은 의사와 병원 사람들이었다."다음날 아침 한 연구원이 임의의 그림 하나를 선택했다. 그 전에 베센트의 기록물은 이미 다른 곳으로 우편으로 보내져 ... ...
- 잉카의 후예 께로족과학동아 l1997년 01호
- 전통을 고집해 온 노인은 그 꿈으로 고산지대의 힘겨운 생활을 이겨 나가고, 아이들은 그 꿈을 먹는다. 그들은 옛 찬란했던 잉카가 다시 온다고 믿으며 지금도 살아가고 있다.잉카문명남아메리카의 안데스를 중심으로 16세기 초까지 잉카족이 이룩한 청동기 문화. 잉카족은 12세기에 쿠스코를 수도로 ... ...
- 대인공포증 10대가 고비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질환일 뿐이다. 혼자 고민하고 끙끙 앓고 있을 이유가 하나도 없다. 한창 생기있고 꿈이 있을 10대에 더 이상 이 증상에만 매달려 있을 수는 없지 않겠는가 ... ...
- 5. 한국유전공학의 메카 생명공학연구소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유성에서 택시를 타고 가장 늦게까지 불이 켜져 있는 연구소로 가자고 하면 우리 연구소에 데려다 줄것입니다”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생명공학연구소의 유익동 박사(바 ... 가지고 있기 때문. 그러나 정작 명박사는 "고등과학원 교수로서 연구와 지도를 하는 것이 꿈이다"고 말한다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