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정보를 간단하게 알아 낼 수 있다. 식당에서 밥을 먹다가 생물바코드를 찍어 보면 반찬이
국내
산인지 외국산인지도 바로 알아 낼 수 있다. 2007년 6월 우리나라는 국제생물바코드협력체에 가입했다. 앞으로 5년 동안 50만 종의 생물바코드 정보를 구축하는 계획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 ...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표현했다.컴퓨터그래픽 기술은 사신뿐만 아니라 곳곳에 쓰이고 있다.
국내
성 세트의 경우 실제 건물은 30% 정도만 짓고 나머지는 모두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들었다. 숨 가빴던 격구장면에서도 수천 명의 관중이나 주변 환경은 거의 컴퓨터그래픽으로 완성했다. 비용을 절약하는 것은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이름을 붙였다. 페니실린은 최초의 항생제가 되어 많은 생명을 구했다. 1899년 9월 18일
국내
최초의 철도 경인선 개통경인선은 서울 노량진과 인천(제물포)을 잇는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다. 처음에는 미국인 모스가 한국 정부의 허락을 받고 건설을 시작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중단한 뒤 일본인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개발한 최진호 이화여대 나노과학부 교수 등이 청계천을 자주 찾던 과학자들이다. 또
국내
천문학자들이 전파망원경을 완성하는 과정도 청계천에서 시작됐다. 그들의 발자취를 쫓아가보자.청계천 대한민국 과학실험장비 1번지 청계천 3가에서 4가 쪽으로 가다 보면 세운교가 있다. 복원공사를 마친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별명까지 얻었다. 결국 병원에 갔더니 진단 결과는 ‘소음성 난청’이었다.
국내
외 전문가들은 청소년의 소음성 난청이 MP3플레이어처럼 이어폰을 사용하는 개인용 음향기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 7월 미국 청각개선연구소(BHI)는 16~34세 MP3플레이어 이용자 1000명을 조사한 결과 3명 중 1명꼴로 ... ...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우리나라는 1977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현재 19기의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국내
총 전기생산량의 약 40%를 원자력발전소가 담당하고 있으며 발전량으로 따지면 세계 6위의 원자력에너지 생산국이다.“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원자력 기술개발을 매우 늦게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1980년대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모니터가 필수적이다 간혹 다중 주파수 모니터 또는 VFM이라 부르기도 하며,
국내
에서는 멀티싱크 모니터라고도 부른다하드웨어가 가지는 제약으로, 대부분의 컬러 그래픽 보드는 컬러모니터가 표시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번에 나타낼 수 있는 컬러는 전체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것이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집을 전시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가 하면
국내
한 업체의 의뢰로 깜찍한 플라스틱 책꽂이를 디자인해 ‘책꽂이=나무격자’라는 통념을 가볍게 뛰어넘었다.라시드 정도는 아니더라도 현대인들은 이미 플라스틱에 깊이 중독돼 있다. 플라스틱 튜브에 들어있는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궁극적으로 불의 확산을 막는다는 말이다.강원대 소방방재학부 이시영 교수는 “
국내
에도 거품제와 지연제가 있기는 하지만 단가가 비싸 화재가 나도 충분히 사용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라며 “거품제와 지연제가 소화 시간을 2배 이상 단축시키므로 앞으로 이 약재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니켈, 염화수은, 크롬, 포름알데히드 같은 원인물질을 밝히면 피할 수도 있다.
국내
에는 아직 광과민성질환 환자가 희귀해 연구 속도가 더디다. 건국대병원 피부과 최용범 교수는 “병원을 찾은 한 여학생이 햇빛을 받으면 두드러기가 나는 증상을 보여 정밀검사를 권했지만 거부했다”며 “두드러기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