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모든 종마다 생식기가 다르게 생겼어요. 그래서 다른 종과의 차이점을 집중 분석해 김 교수님과 논문을 썼어요. 신종 운길깡충거미와 예봉게거미도 2017, 2018년에 연달아 발견해 논문을 냈어요. 미기록종으로는 시화외줄솔개거미, 왕어리두줄깡충거미를 발견했지요. Q 웬만한 거미는 다 만나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다는 거예요.지난 2018년 영국 레이스터대학교 지질학 캐리스 베넷교수는 닭이 지금 시대의 지표화석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어요. 이 연구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인간이 빨리 크게 자라는 닭 품종을 개발했는데, 야생닭과 비교했을 때 다리뼈의 길이가 2배, 넓이는 3배나 커서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동안만 유효한 약물치료보다는 VR 치료가 좀 더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여겨진다.김 교수는 “VR 치료는 HMD(Head Mounted Display) 같은 머리에 착용하는 장비만 있으면 병원에 오지 않고 집에서도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환자들이 집에서 스스로 훈련할 수 있는 셀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사피엔스는 아프리카 남부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헤이즈 교수팀은 수년간 L0 그룹의 혈통을 찾기 위해 아프리카 원주민을 만나 일일이 혈액을 채취했다. 연구팀은 L0 혈통 198명의 혈액 표본을 새로 찾아내 기존 1019명의 표본을 합친 총 1217건의 혈액 표본을 이용해 L0 그룹의 ...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활동하던 이휘소 박사의 공이 지대하다) 학계에서 정론으로 받아들여졌고, 와인버그 교수는 1979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그는 ‘최종 이론(Final Theory)’에 다가가기 위해 87세의 나이에도 연구를 멈추지 않고 있다. 올해 2월에도 기본 입자와 관련한 그의 새로운 논문이 나왔을 ... ...
- [수학뉴스] 꿀벌의 수학적 인지능력, 수학 모형으로 원리를 밝히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벌의 인지능력을 신경망 형태로 재현하는 단순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나우로트 교수는 “이 모형을 인공지능의 학습 알고리듬에 적용하면 전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 ‘iScience’ 2월 21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미는 힘 때문에 육각기둥 구조가 만들어진다고 하더라고요. 김준석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우리 집이 만들어지는 구조를 수학적으로 분석했어요. 우리 집의 일부를 격자에 옮겨놓고 ‘가상경계법’으로 각각의 방에 가해지는 합력을 구한 거죠. 합력은 여러 힘이 동시에 작용할 때와 같은 효과를 ... ...
- 잠들면 뇌에서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생체공학과의 니나 풀츠와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의 로라 루이스 교수 공동 연구팀은 비렘수면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측정한 연구를 발표했어요.연구팀은 뇌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계인 fMRI를 이용해 잠든 사람의 뇌를 관찰했어요. 동시에 뇌파 등 여러 다른 생체 ... ...
- [한장의 과학] 미어캣은 귀엽지 않다 '전쟁 댄스'를 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패배한 집단은 자기 영역의 중심으로 은신굴을 당겨와 영역이 줄어들었지요. 다이블 교수는 “가혹한 사막 환경에서 좋은 영토를 획득하는 것은 집단의 생존과 번영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에디터노트]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HUBO)’의 아버지 오준호 KAIST 석좌교수가 로봇 보드를, AI 반도체 전문가인 김정호 KAIST 교수가 AI 보드를, 그리고 전 그룹장이 NASA 보드를 이끈다. 사이언스 보드에 올라타고 꿈과 미래라는 파도를 넘실넘실 타고 넘길 바란다. 파도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는, 저도 여러분도, 아직 모른다. 마스 2020처럼,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