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 핵융합 발전 활용기술 개발(2025)• 우주쓰레기 처리기술 개발(2016)>>> 2027• 국제
공동
달기지와 우주공장 개발(2019)• 우주자원 활용 기술 개발 중요도 상위 100대 과제과학자들이 2030년까지 등장할 것으로 예상한 기술은 모두 761개다. 이 중 ‘현실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기술 10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두루넷이나 지역케이블망, 한전과 서울시가 운영 중인 전용 통신선로가 많다며 이들을
공동
운영하는 방안이 있다”고 제시한다. 결국 KT가 주장하는 회선 부족 현상은 KT망에 한해 적용되는 말이라는 얘기다.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임종인 원장은 “종량제가 도입되면 소득수준이 낮은 사람의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주가 액체 상태였다는 새 학설이 제기됐다.일본 도쿄대와 미국 브룩헤븐 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충격으로 빅뱅 후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
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5월 영국을 방문해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황 교수와 루게릭병
공동
연구를 논의하기 위해 자비로 방한한 윌머트 박사는 황 교수의 실험실들을 둘러보고 “매우 수준 높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다”며 “공휴일(식목일) 오전 9시에 서른 명이 넘는 연구원이 실험실에 나와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방문해 우주 생활환경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설명하고 기술이전 등 구체적인
공동
연구방안을 세울 예정이다. 이처럼 변 박사팀이 우주식품의 상용화를 서두르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향후 우주개발과 함께 우주생필품 시장도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확신 때문이다. 원자력연구소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대상으로 스포츠 활동을 하게 한 후 과학적 원리를 설명해 그 효과를 분석한 ‘
공동
체 과학의 자매들’, 전시물에 담겨있는 이야기를 분석해 그 속에 담겨 있는 이념을 밝혀낸 ‘학교밖 교육에서의 이야기와 이념’과 같은 논문이 눈길을 끌었다.교사들이 과학관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이툰 부대와 함께 이라크 아르빌에 파견됐던 국산로봇 롭해즈의 귀국신고식이 지난 3월 9일 열렸다. 지난해 8월 자이툰 부대를 따라 나선지 꼭 217일만의 일 ... 있지 않지만 연구팀은 파병 결과를 정밀 분석해 문제점을 개선한 뒤 방위산업체와
공동
으로 정식 군수용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담배, 벼 등에 삽입해 실제 효능을 실험 중”이라고 밝혔다. 조지아대는 에피젠사와
공동
으로 유전자 조작 포플러를 이용해 미국 코네티컷주의 덴버리 지역 폐금광의 수은을 정화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시간 오래 걸리는 것이 흠식물 처방전에도 약점은 있다. 식물이 자라서 정화 기능을 발휘할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상연구소, 국립환경연구원 등 여러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공동
으로 참여하는 ‘한국 ABC 연구계획’ 연구단이 구성돼 있고, 이들을 중심으로 고산에서 갈색구름을 계속 관측할 예정이다. 각종 첨단 장비가 동원된 이런 중요한 국제적 연구과제에서 한국의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연구자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미 국내 연구자들과 이용자들은 냉중성자 장치의
공동
개발에 나섰고 해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도 결성됐다.현재 일부기술에 대한 국산화도 어느정도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핵심 기술인 냉중성자 유도관에 들어갈 특수 유리기판의 정밀 가공과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