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윤석열 정부 첫 과기부 장관 후보에 반도체 전문가 이종호 서울대 교수
2022.04.10
생산 기술과 관련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윤 당선자는 또 연구소 앞에 있는 반도체 물리
학자
인 고(故) 강대원 박사 흉상 앞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기도 했다. 윤 당선자는 당시 이 장관 후보자에게 “중국 반도체 인력이 한국보다 많다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는 등 연구 인력 양성에도 ... ...
[표지로 읽는 과학]"W보손의 질량, 예상보다 더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0
움직임에 대한 통계인 ‘보스아인슈타인 통계’를 개발했다. 이 통계를 기반으로 과
학자
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이나 입자가 서로 떨어지려는 성질과 뭉치려는 성질로 나뉜다고 분석했다. 이 중 뭉치려는 성질의 입자를 사티엔드라 나드보스의 이름을 따 보손으로 불렀다. 보손의 종류에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거리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
2022.04.09
생존 동력인 '협력'이 나타날 수 없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행복 연구로 유명한 심리
학자
에드 디너 미국 어바나 샴페인 일리노이대 명예교수에 따르면 이 사회의 구성원들이 대체로 신뢰할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또 그런 사람들이 많은 나라의 행복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나라에 비해 더 ... ...
[김우재의 보통과
학자
] 학계를 떠나는 과
학자
들
2022.04.07
얼마전 미국 서부의 연구중심 대학이자 최고의 명문대 중 하나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리사 귀나이든 교수의 트윗 하나가 많은 ... 다닌다. 과
학자
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
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방역당국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쪽 가닥…마스크 의무화 해제는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학문적인 용어로서 개념정의가 상당히 넓다"며 "어떤 상태를 엔데믹으로 볼지는
학자
들마다 혹은 그 정의들마다 상당히 넓게 달라진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거리두기 해제를 반드시 엔데믹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손 반장은 "엔데믹을 팬데믹(대유행)에 대한 ... ...
태양계 '거인' 목성 9배 달하는 초대형 가스행성 '탄생' 관측
연합뉴스
l
2022.04.05
가스 붕괴를 거쳐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NASA 에임스 연구센터의 천체물리
학자
테인 커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과 하와이 마우나 케아 정상의 스바루 망원경을 이용해 젊은 별 주변의 먼지와 가스 원반에서 형성되는 마차부자리 AB b를 관측했다. [Science: NASA, ESA, Thayne ... ...
1조3천억원 들인 英 화성 탐사로버…전쟁 탓 화성 못 갈 판
연합뉴스
l
2022.04.05
이 탐사 로버의 전망이 암울해 보인다고 우려한다. 영국 개방대학(Open University) 천문
학자
존 자네키 교수는 "현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협력은 상상할 수 없다. 이런 태도는 오래 지속될 것"이라며 "엑소마스 발사가 2020년대 말까지 지연될 수 있는데 그때쯤이면 엑소마스 기술은 시대에 뒤떨어진 게 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판단하지 말아야
2022.04.02
메시지도 들어보기 전에 외면하기로 결정한 나 때문에 두렵고 힘들었던 것이다. 많은
학자
들이 감정에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말고(react) 대응(respond)할 것을 강조하는 이유가 이때문이다. 우리는 감정에 수동적으로 반응하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 감정을 해석함으로써 해당 감정에 ... ...
[지구는 살아있다]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2022.04.02
우경식 교수가 우도 서빈백사해수욕장에 쌓인 홍조단괴 퇴적물을 들여다보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DB 제주도 동쪽 성산 일출봉 너머의 작은 섬, ...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3월 15일 발행, [파고캐고 지질
학자
] 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산불이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2022.04.02
산불의 위험성이 낮아졌다는 주장이다. doi: 10.1111/gcb.15190 물론 대다수 기후
학자
와 산림
학자
들은 기후변화가 산불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라 주장한다. 지난해 12월 마리아 주브코바 미국 메릴랜드대 지리과학과 연구원은 ‘글로벌 생물학 변화’의 편집장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일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