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스페셜
"
태양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탤봇,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로버트 분젠 등을 거치며 잘 연구돼 있었다. 프라운호퍼는
태양
광의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연구하던 중 수많은 미세한 검은 선들을 발견했다. 이를 '프라운호퍼선'이라 부른다. 한편 비슷한 시기 낮은 압력의 기체를 방전하거나 불꽃에 여러 시료를 넣었을 때 특정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시작된 전력난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많은 비가 내리면서
태양
광도 맥을 추지 못했고, 정치적인 이유로 석탄화력에도 문제가 생겼다. 우리가 정말 탄소중립을 원한다면 원자력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요란한 수소 경제도 실현 가능성이 확인되지 않은 미래의 ... ...
[과기원은 지금] 김일두 KAIST 교수팀, 맥신·물 이용 전기발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조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납을 포함하지 않는 차세대 비납계
태양
전지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터리얼즈’에 16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KAIST는 23일 오전 11시 대전 본원에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 ...
영화 ‘아마겟돈’ 현실로…NASA, 소행성 충돌 우주선 24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디디모스(Didymos)’와 그 위성 ‘디모포스(Dimorphos)’이다. 직경이 780m의 디디모스는
태양
을 공전할 때 지구와 비교적 가까운 곳을 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SA의 우주선 DART는 우주선이 목표 소행성을 자율적으로 탐색해 충돌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충돌로 인해 소행성의 궤도가 변경될 수 ... ...
한국형 인공
태양
KSTAR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운전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장치 중 최장 기록을 세운 데 이어 2년 연속 세계 기록을 이어갔다. 핵융합 에너지는
태양
에너지의 원리인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핵융합 장치는 연료(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이온과 전자가 분리돼있는 플라즈마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전개하기 시작하고 발사 2시간 후 통신 안테나를 가동한다. 발사 12시간 30분 뒤에는
태양
전지판을 이용한 동력으로 추력을 얻어 목표 지점까지 약 한달간 날아간다. 발사 11일째에 6.5m 크기의 주경을 서서히 펼치기 시작해 약 열흘간 18개의 거울을 세부 조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고도의 정밀한 작업이 ... ...
38년 전 적외선 관측 자료 다시 들춰 찾아낸 제9 행성 후보
연합뉴스
l
2021.11.18
된다는 것이다. 제9 행성이 확인되면 1846년에 해왕성이 발견된 이후 거의 200년 만에
태양
계에 새로운 행성이 추가되는 셈이 된다. 카이퍼 벨트의 천체에 미치는 중력이 제9 행성 존재를 주장하는 유력한 근거가 되는 것처럼 해왕성을 발견할 때도 수학적 계산과 맞아떨어지지 않는 천왕성 궤도가 ... ...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원천은 화석연료다. 원자력과
태양
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도 활용되고 있지만 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비중이 높다. 이같은 발전 방식에서 약 40%의 에너지는 회수되지 못하고 열에너지의 형태로 버려진다.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회수해 ... ...
과학기자들이 뽑은 올해 과학자에 석상일·이준이·최재욱 교수·홍정주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대응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에 유효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
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우리 연구진의 노력에 상을 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지난 8월 공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1실무그룹 6차 보고서의 총괄 주저자로 지난 3년 반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달이 지구의 중력에 붙잡혀 지구 주변을 돌고 있는 것과 달리 카모 오알레와는
태양
중력에 잡혀있다. 카모 오알레와는 현재 궤도로 볼 때 약 100년 전부터 안정된 상태로 지구 주변을 맴돌아왔으며 이런 궤도는 앞으로 수 세기에 걸쳐 더 지속할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카모 오알레와의 빛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