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쇠
신장
key
방향타
자물쇠
몸집
풍채
스페셜
"
키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갖게 되는 과정을 뜻한다. 어린이가 어른으로 자라면서
키
와 몸매가 결정되고 성격이 형성되는 과정과 비슷하다. 줄기세포는 어린아이처럼 아직 덜 자란 세포라 ‘미분화 세포’로 불린다. 줄기세포 치료는 병이나 사고로 손상된 부위에 줄기세포를 넣어 분화하도록 하는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사람과 마찬가지로 노안 진행 속도에서 암컷과 차이는 없었다. 한편 41살인
키
(Ki)라는 보노보가 6년 전인 35살 때 털 고르기를 하는 비디오가 남아 있었다. 당시 털 고르기 거리를 잰 결과 12cm로 6년이 지난 뒤의 17cm보다 5cm 더 가까웠다. 즉 6년 사이에 노안이 진행됐음을 보여주는 데이터다. 한편 이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느꼈다. ● 별 형성 시나리오 관측으로 입증돼 지난해 ‘네이처’에는(2월 12일자) 잰스
키
전파망원경(VLA)의 관측 데이터를 해석해 우주의 가스와 먼지에서 별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의 하나를 입증한 논문이 실렸다. 아쉽게도 저자 명단에서 민니 마오는 없었다. 칼 세이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적극적인 보호가 시급하다. 그물 무늬가 마친 그린 것처럼 선명한 망상기린의 모습. - 위
키
피디아 제공 1758년 칼 린네가 기린의 학명을 부여한 이래 지금까지 기린은 한 종으로 알려져 있었다. 다만 서식지나 줄무늬 패턴의 차이에 따라 9가지 아종으로 분류해왔다. 그런데 게놈 서열을 바탕으로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이온과 물이 장내강으로 분비돼 몸은 극심한 탈수 및 전해질불균형 상태가 된다. - 위
키
피디아 제공 음식이나 물을 섭취할 때 들어온 콜레라균은 다른 세균처럼 위에서 위산에 두들겨 맞아 죽는다. 그러나 개체수가 많을 경우 소수가 살아남아 소장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전열을 가다듬고 증식을 한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942년 태어난 호킹은 옥스퍼드대학에서 조정 클럽에 가입해
키
잡이를 할 정도로 운동신경에 문제가 없었지만 졸업 무렵부터 몸놀림에서 이상을 느꼈고 자주 넘어졌다. 결국 정밀진단을 받았고 근위축성측삭경화증, 즉 루게릭병 판정을 받았다. 사실상 시한부 삶을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
2016.07.23
새벽 3시까지 재활용품을 골라내 생계를 이어가는 아프리카의 어느 가족의 딸아이가 제
키
보다 더 큰 짐을 지고도 짐보다 더 무거운 졸음의 무게에 늘어지는 어린 동생의 짐까지 도맡는 모습을 보고. 만약 그 두 영상 속의 불우한 남매들이 훨씬 좋은 환경에서 성장했더라면 어땠을까. 어쩌면 인간의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식물의 투자전략을 추측했다. 즉 식물은 영양섭취를 더 기대한 쪽 화분의 뿌리를 더
키
운다는 말이다. 실험결과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중간일 때 식물은 위험을 선택했다. 즉 영양 편차가 큰 쪽의 뿌리가 더 무성했다. 반면 영양공급이 풍부할 때는 위험회피 전략을 써 영양 공급이 일정한 쪽의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살고 있었다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신체 골격이 없어서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이 인류의
키
도 1미터 남짓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시나리오는 이렇다. 대략 100만 년 전 아시아에 진출한 호모 에렉투스 무리 가운데 일부가 플로레스섬에 들어와 고립됐다. 천적이 없는 대신 먹을 것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
2015.12.28
남아있다.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 이끄는 탐사대가 1971년 몽골에서 발굴한 벨로
키
랍토르와 프로토케라톱스가 싸우고 있는 화석(왼쪽). 이 장면을 오른쪽 그림으로 보면 상황을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다. - 유야 타마이 & 라울 마틴 제공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