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치
관리
통제
감독
권력
통어
우위
스페셜
"
지배
"(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대뇌피질이 더 두껍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당시는 뇌가 변하지 않는다는 패러다임이
지배
하던 때이므로 충격적인 연구결과였다. ‘뇌가소성’, 즉 뇌는 쓰면 더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의 발견은 교육을 비롯해 많은 영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인슈타인의 뇌를 분석한 뒤 다이아몬드 교수는 쥐를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훤히 들여다 보이는 인체 전신을 휘감은 모양새입니다. 유전자가 인간의 모든 것을
지배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네이처 제공 이런 표지가 등장한 것은 GTEx(Genotype-Tissue Expression, 유전자형-장기 표현형) 컨소시움에서 그동안 기부받은 조직을 이용해 연구한 유전자 발현과 관련된 논문 4건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우리사회는 여전히 천재성은 소수 남성에게 주어진 것이라는 ‘고정된 사고방식’이
지배
하고 있다는 게 저자들의 진단이다. 따라서 사회문화적으로 천재성을 너무 부각하지 않는 게(과학 분야의 예를 들면 경우 아인슈타인의 신격화) 재능 있는 여학생들이 이런 선입견의 희생양이 되지 않게 하는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장에는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균인 ‘박테로이다세’가 장내 미생물의 21%를 차지하며
지배
적이었지만,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 도시인들의 미생물 속엔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과 보다 열등한 집단이 존재한다’고 보며 강자에 의한 약자의
지배
를 정당화하는 사회
지배
성향(social dominance orientation)을 강하게 보였다. 또 ‘어렸을 때부터 권위를 존경하고 복종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며 권위에 순응하는 것을 미덕으로 보는 우익권위주의 성향(right-wing authoritarianism)과 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각 개인의 잠재적 근친계수를 판독해냅니다. 학연과 지연이 세상을
지배
하는 것은 애교심이나 애향심 때문이 아니라 바로 내집단 선호라는 원시적 인지 모듈의 결과입니다. 동물 종에선 네 가지 방법을 통해서 이러한 내집단 선호의 기전이 작동합니다. 지역(location), 친숙함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미국의 공상과학(SF) 작가이자 과학자인 아이작 아시모프는 그의 소설에서 로봇이 인간을
지배
하게 될 상황에 대해 우려하며 ‘로봇공학의 3원칙’을 제시했다.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되며 위험에 처해있는 인간을 방관해서도 안 된다는 1원칙, 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 로봇은 인간의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정서의 강도가 더 심하며 더 오래가고 주의도 더 잘 뺏는 등 부정적 정서의 영향이
지배
적인 현상을 부정편향(negativity bias)이라고 한다. 즉 우리는 기본적으로 좋은 일보다 나쁜 일들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Rozin & Royzman, 2001). 일례로 10만원 생겼을 때의 기쁨보다 10만원 없어졌을 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일부러 산불을 내던 인디언들이 주인이었던 시절 산불다양성이 가장 컸고 유럽인들이
지배
를 하며 인디언을 쫓아내고 특히 20세기 들어 정부가 산불억제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산불다양성이 급감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결과 이 지역에 사는 식물과 동물의 종다양성도 줄어들었다. 산불은 당연히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
2017.01.31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모든 집단은 계급에 따라 자신에게 알맞는 위치가 있고
지배
계급이 존재하는 것이 옳다고 보는 태도), 맹목적 애국심(국가가 하는 일은 무엇이든지 믿고 따라야 한다는 태도) 등과 상관 없이 나타났다. 집단적 나르시시즘이 높은 경우 자기 자신도 아니고 자기가 소속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