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리서치
리써치
설문조사
물음
질의
스페셜
"
설문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참여 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사회심리학 저널’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7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사회적 거리두기와 위생 수칙과 관련된 그들의 행동과 반응을 물었다. 참가자들의 개인주의 성향 정도와 팬데믹(대유행병) 상황에서 참가자들이 느끼는 무력감도 평가했다. ... ...
WHO "17개 후보 1~3상 진행중" 속도 내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인 접종자 비율이 66%라는 가정은 CNN의 5월
설문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당시 조사에서 미국인의 33% 이상은 백신이 개발돼 싼 가격에 공급돼도 백신에 대한 불신 등 때문에 접종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 ...
코로나19 장기화에 두려움↓·우울↑…"가족감염 제일 걱정"
연합뉴스
l
2020.06.24
지난 3월 말 1차 조사에 이어 5월 말 2차 조사를 했다. 코로나19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
설문
조사 결과. 2020.06.24.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 결과 2차 조사에서 국민의 코로나19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은 1.59로 1차 조사 1.78보다 다소 감소했다. 가장 두려워하는 건 1차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포스트 아카데믹 과학의 규범을 따르는 경향을 보여준다. 공공부문 과학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조금 놀라운데, 예를 들어 대부분의 공공부문 과학자들이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논문발표를 늦춰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 공공부문 과학자의 연구규범. 자료출처 박희제, ... ...
방역당국이 걱정하는 부정적 상황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우울증을 일컫는 ‘코로나블루’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는 4월 10일부터 13일 진행됐던
설문
조사 때보다 14.5% 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코로나19와 관련한 심리상담 건수도 이달 5일 기준 37만431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자가격리자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핫라인을 ... ...
"초등학교 고학년생, 온라인 개학 만족도 가장 높아"
연합뉴스
l
2020.06.12
대두한 '9월 신학기제'와 관련해서는 응답한 청소년의 66.5%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이번
설문
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스쿨잼 블로그(https://blog.naver.com/naverschool) 및 틱톡(@schoolja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코로나19는 당신의 숙면을 빼앗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수면의 질은 오히려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블룸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수면의 질을 묻는
설문
에 참가자들은 수면 시간이 늘어났음에도 오히려 질은 평균 1% 떨어졌다고 응답했다. 원인을 묻는 질문d 블룸 교수는 “특히 사회적 시차가 감소하면 보통 수면의 질이 향상되는데 오히려 전반적인 수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흑인을 볼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09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오클랜드 시민의 28%인 흑인이 검문 건수의 60%를 차지했다.
설문
조사에서 경찰들은 검문의 90%가 엄격한 기준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지만 실제 비디오를 분석하자 그런 경우는 5%에 불과했다. 이런 데이터를 바탕으로 재교육을 실시한 결과 2018년 검문 건수는 2016년의 절반 ... ...
한국과 미국의 보수, 코로나19를 보는 태도는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궁극적으로 이념 집단을 더 가깝게 만들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이 높아질수록 두 집단의 행동 차이는 빠르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콘웨이 교수는 “경험과 견해차에 대한 연관성은 없었으나 경험이 많을수록 자신의 이념은 ... ...
젊은 과학자들 "R&D 평가 투명성 위해 도입한 '상피제' 오히려 전문성 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8%는 불만족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가장 문제가 있는 부분은?’이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3개 항목까지 복수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상피제도로 인한 평가위원 구성의 전문성 저하’가 가장 큰 문제로 꼽혔다. 42명이 문제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25명이 각각 ‘평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