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스페셜
"
땅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채집 생활을 하던 인류는 약 일만 년을 전후하여 정착하기 시작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
을 찾아내어 긴 유랑을 끝낸 것인지 혹은 더 이상 자유롭게 떠날 곳이 남지 않아서 도리없이 머무른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인류학에서 제법 논쟁적인 주제다. 이유야 어쨌든 머물러 지내기로 하면서 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생명의 정령, 영혼의 정령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했다. 갈레노스의 해부학이 갑자기
땅
에 뚝 떨어진 것은 아니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관찰과 경험을 중시해 동물을 직접 해부하며 방대한 지식을 정리해 두었고 이후 헬레니즘 시대의 헤로필로스와 그의 제자 에라시스트라토스가 신경계와 순환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있다. 반면 오른쪽에 서 있는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오른손을 펴서 손바닥으로
땅
을 가리키고 있다. 스승과 제자가 추구했던 철학의 핵심을 라파엘로는 각자의 손의 위치로 시각화했다. 스승과 제자는 모두 각자의 왼손에 책도 한권씩 들고 있다. 플라톤이 들고 있는 책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한 시간 등산(완만한 코스다)을 포함해 두 시간 반 정도 걸었는데 한결 편해졌다. 특히
땅
에서 전달되는 촉각의 ‘해상도’가 확실히 높다. 등산로에 박혀있는 돌과 솟아난 나무뿌리를 밟는 맛이 쏠쏠했다. 앞으로 쿠션이 있는 신을 다시 찾을 일은 없을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특별기고]우주는 이미 삶 속으로 들어와 있다
2019.07.17
엔진을 만든 7번째 나라가 됐다. 현재 개발 일정이 차분하게 진행되면 2021년이면 우리
땅
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우주발사체로 위성을 쏘는 나라로 거듭날 것이다. 우주신흥국들이 부러워 하는 우주개발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단계에 와 있다. 최근의 우주기술은 우주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깃들어 있는 요소이다. 탈레스에게는 그게 물이었다. 사람에게도 짐승에게도 식물에게도
땅
에도 바다에도 어디에나 물이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었으니까 그 시절에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다. 즉, 탈레스는 우주 삼라만상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요소로서의 아르케를 추구했다. 보편성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파괴한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정부는 앞으로 수십조 원을 들여 서울시 면적보다도 넓은
땅
을 태양광 발전소로 만들 계획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숲을 파괴하지 않고 지을 수 있는 면적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제라도 거기서 멈추는 지혜를 발휘했으면 한다. 대신 남는 돈을 갖고 숲 복원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위에 서식하며 나무 근처에서 먹이를 찾았으며 갈색 아놀리는 육지 쪽에서 서식하며
땅
에 있는 먹이를 먹었다. 하지만 말린꼬리 도마뱀이 사는 섬 네 곳에서는 두 종의 아놀리 모두 천적의 위협을 피해 나무에 서식했다. 그로 인해 두 종의 아놀리 간 먹이 경쟁이 심화되어 녹색 아놀리가 멸종하는 ... ...
미국
땅
을 처음 밟은 이주민은 시베리아에서 건너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그 중 하나는 아메리카대륙으로, 나머지는 다시 시베리아로 이동했다. 이들이 미국
땅
으로 들어가 지금의 미국 원주민이 됐다. 한편 네이처에는 윌러슬레프 교수팀의 연구와 나란히 북극 지역의 인류의 이주 역사를 밝힌 독일 막스플랑크인류사연구소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연구는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가지를 바꾼다고 스마트시티가 되는가”라고 지적했다. 신 학장은 “초고층 건축을 통해
땅
을 퍼뜨리지 않은 채 수직으로 밀집시키는 수지형 압축도시를 구현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스마트시티 논의가 아직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두 MP,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