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중"(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KOITA l2015.02.16
- 늘 해당 기술보다 훨씬 늦게 발달해 왔다. 기술의 편리함에 취해 이점을 누리다가 나중에서야 그 부작용과 해악을 깨닫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듯 윤리를 논한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로봇기술이 재앙을 몰고 오기 훨씬 이전에 로봇윤리를 정립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IBS l2014.12.16
- 받았는데, 처음엔 한 분야에서 100대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뽑힌 줄로 착각했어요. 그런데 나중에 자세히 보니, 3팀만 뽑은 것이더라고요. 그래서 소속기관의 홍보팀에 연락했죠." 유 단장이 내놓은 연구성과는 현재 총 2만 회가 넘는 인용 횟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 중 인용 횟수가 1000회가 넘는 ... ...
- 손과 발이 찬 이유, 무엇 때문일까?KISTI l2014.12.15
- 생긴다. 증상은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팔이나 다리가 시리고 저리는 것으로 시작해 나중에는 잘 걷지 못하거나 배뇨 장애 등도 나타난다. ■ 스트레스는 손발을 얼린다 병이 아닌데도 손과 발이 차다면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우리 몸은 흥분하거나 긴장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손과 ...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IBS l2014.12.10
- 컴퓨팅을 구현하기에는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너무 짧다. 이는 마치 나중에 참고하려고 적어 둔 메모의 글자들이 제멋대로 바뀌는 것과 같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다. 정보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것이다. 많은 과학자가 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하고 있다. 당연하게도, 안정성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동아사이언스 l2014.11.24
- 정확히 밝혀졌다. 그의 실수는 지구 자체에 열원(熱源)이 없다고 정의했기 때문이다. 나중에 밝혀졌지만 그가 몰랐던 열원이 지구 속에 숨어 있었다. 다윈의 사망 14년 후인 1896년 앙리 베크렐이 우라늄에서 열을 낸다는 사실을, 그로부터 7년 후 마리 퀴리가 라듐이 열을 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 ...
- [Green Focus_기획특집]비(非)이산화탄소를 잡아라동아사이언스 l2014.11.17
- 안전한 고체물질로 만들어 해롭지 않게 바꾸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중에 불소 자원이 없을 때 형석을 다시 이용해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등의 불소 화합물을 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아산화질소, 불화가스 같은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은 화학공업, 자동차산업, ...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2014.11.10
- 기억의 가치가 얼마 안 되는 것 같지만, 기억이란 외부에서 주어진 게 아니라 원하면 나중에 나 혼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는 걸 생각하면 미미한 차이라며 넘길 일은 아니다. 연구자들은 행복했던 일을 음미하는 게 기분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정서조절에도 도움이 된다며 우울증 등 정서장애의 ... ...
- [Green Lab 동아사이언스 l2014.08.27
- 있다. 연구소를 들어서면 현대식의 세련된 건물과 함께 대형 태양열집열판이 눈에 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연구소에서는 이 태양열집열판으로 생산된 전력을 RFB를 사용해 저장해 사용하고 있었다. 롯데케미칼 연구소에 있는 태양열집열판. 여기서 생산된 전기는 RFB 충·방전 실험에 ...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KOITA l2014.08.08
- 비슷하다. 얼굴을 하얗게 만드는 분은 각 지역에서 나는 곡식을 가루로 만들어 쓰다가 나중에는 납 가루를 공통적으로 썼다. 입술 화장에 사용하는 주사라는 광물도, 눈매를 강조하기 위해 나무를 태워 만든 먹도 같다. 사람들이 생각하고 지내는 것은 과거나 지금이나, 동서양이나 모두 비슷 ... ...
- 습관의 뇌과학2014.05.26
- 표현도 비슷한 맥락이다. 운동이나 일도 처음에 잘 못 배워 안 좋은 습관이 들면 나중에는 오히려 발전을 방해한다. 그래서 지도자들은 습관이 잘못 든 중급자들보다 차라리 초보자를 더 선호하기도 한다. 분야를 막론하고 독학한 사람이 대성하기 힘든 이유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필자 역시 안 ... ...
이전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