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그래프"(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데이터를 보면 엄청나게 영향을 주는 건 아니다. 왼쪽은 가공육 섭취량과 대장암 위험성 그래프로 매일 80그램 이상 먹어야 1.5배가 돼 차이가 느껴진다. 오른쪽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성 데이터도 비슷하다. - ‘사이언스’ 제공 예를 들어 암 위험성을 보면 가공육을 현재 유럽인 평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공동조상인 후편모류(Opisthokonta)가 변곡점임을 주목하라.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래프를 보면 3단계는 증가에서 감소로 가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깃편모충류와 동물류의 공동조상으로 아직 단세포생물이면서도 다세포성에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따라서 군체는 형성할 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상황을 보자. 평소 아침 7시에 일어나 밤 11시에 잠이 드는 사람이 있다. 이를 수면욕구 그래프로 설명하면 이렇다. 아침 7시에 깨는 건 잠을 자는 동안 뇌의 아네노신이 분해돼 줄어 수면압력이 떨어지고 생체시계의 각성도는 올라가 같은 값에 이른 결과다. 즉 수면압력이 30(이하 수치는 필자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나는 편이다. 뇌용량이 1000cc(ml)에 못 미치는 여성이 몇 명 보인다. 남녀 모두 좌우 말단의 그래프 곡선은 사람 수가 적어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 - ‘임상 신경학 및 신경외과’ 제공 많은 경우 키 차이가 실제보다 더 커 보이는 것도 머리와 몸의 비율이 키에 따라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머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수 및 사망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사망자수는 정체를 보이다 지난해 갑자기 늘어 치사율이 20%에 이르렀다. 중국과 일본 역시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치사율은 한 자릿수로 내려갔다. - 질병관리본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8.02.27
- 감초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위는 감귤류 각각의 게놈에서 원종 기여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주황색이 만다린, 녹색이 포멜로, 노란색이 시트론이다. 유형3(Type-3)의 UNS가 귤(온주밀감)이다. -네이처 제공 한라봉과 천혜향의 관계는? 유형2 만다린까지는 다양한 품종이 어떻게 나왔는지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않는다’는 표현으로 바뀌어야 한다. 포유류 네 종의 나이에 따른 사망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위로부터 벌거숭이두더지쥐, 생쥐, 사람, 말이다.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나이가 들어도 사망률이 높아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공 ‘이라이프’) 실험실 환경에서 반감기 19년 동위원소가 붕괴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나아졌지만 1980년대 들어 정체가 시작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아래의 그래프는 남녀 800m, 높이뛰기, 포환던지기의 해당 년도 10위까지의 기록을 표시하고 있는데 남녀 모두 1980년대 이후 정체됐음을 볼 수 있다. 스포츠에서도 인간의 한계는 감지되고 있다. 육상기록(연도별 상위 10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보는 시각은 보편화됐다. 최근 과학자들은 뇌의 활동 패턴을 네트워크 모형의 하나인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으로 분석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뇌 네트워크는 몇 개의 덩어리, 즉 모듈(module)로 나눌 수 있고 각 모듈은 또 여러 노드(node), 즉 기능 단위로 이뤄져 있다. 즉 노드 사이의 연결 강도는 해당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비해 급격히 RG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7분 지점). 위는 원 데이터이고 아래는 이를 분석한 그래프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참조. - 플로스 원 제공 ●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측면 아냐 흥미롭게도 연구자들 역시 논문 말미에서 파란빛의 모순을 언급하고 있다. 즉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