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스페셜
"
고대
"(으)로 총 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항해 영역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도 낮은 빈도로 발병하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아마
고대
바이킹인들은 항상 괴상한 신경 증상에 시달렸을 것이다.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이나 사지 마비는 그들에게 일상적인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다발성 경화증이 바이킹 유전자에 의한 것이라면, 환경의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오랫동안 묻혀 있던 투유유의 공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국내파 연구자이자 중국의
고대
의서에서 힌트를 얻었다는 점이 현대 중국인의 마음을 움직이면서 지금은 중국이 낳은 위대한 과학자로 추앙받고 있다.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문화대혁명, 그 무서운 광풍을 운 좋게 비껴간 곳에서 수많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통틀어 가장 위대한 인간 유산의 보고였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불타 없어진 사건은
고대
인류사의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라 할 만하다. 이집트에서는 지난 2002년 현대화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알렉산드리아에 개관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일종의 국립학술원이라고 할 수 있는 무세이온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쐐기문자를 새기는 사람이 있었을 것이다. 말라리아에 관한 기록은 기원전 4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전의 의학을 집대성한 인물이니 인류는 문명의 초기부터 말라리아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다. 로마 제국의 쇠락이 말라리아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관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것으로 평가받는다. 덕분에 4체액설은 중세까지 1,500여 년 동안 위세를 떨쳤다.
고대
그리스 의학자 클라우디오스 갈레노스(129~미상)와 벨기에 의사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1514~1564). 위키미디어 그러나 갈레노스가 히포크라테스에만 머물러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갈레노스가 의학의 역사에서 아주 ... ...
AI 정밀의료솔루션 ‘닥터앤서’ 26일부터 임상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과기정통부는 닥터앤서와 함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을 개발해 올해 말
고대
의료원 3개 병원에 시범 적용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또 지난 4월부터 응급환자의 빠른 응급진단·처치를 지원하는 ‘5세대(5G) 기반 AI응급의료시스템’ 개발에 착수, 2021년 본격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모아진다. 이 그림은 그렇게 휘어진 벽면을 따라 위쪽이 반원형으로 그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활동했던 50여 명의 철학자가 한 폭의 그림에 담겨 있다. 물론 서로 다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이다. 그 한가운데에 서 있는 두 사람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이다. 나는 수업시간에 이 그림을 ... ...
[주말 고고학산책]'조개무덤' 패총에서
고대
인의 삶을 읽는다
2019.07.20
경계에 사는 종이 다 다릅니다. 만약 패총에서 바다에 사는 규조류를 찾았다면, 이곳이
고대
에는 바다였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미소권패류는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조개입니다. 크기가 겨우 몇mm라서 사람들이 채집하진 않았고, 아마도 채집한 조개에 묻어 있거나 버려진 조개더미 사이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시작하는 것과 비슷하다. 서구 사람들에게 단군신화가 낯설 듯이 우리에게도
고대
그리스는 (연대가 꽤 차이나긴 하지만) 낯설다. 누차 말했듯이 과학은 우리 것이 아니고 그 출발부터 낯설다. 게다가 그 출발점에서 과학은 과학이라는 이름조차 갖지도 못했다. 그 출발점은 철학이었다. 이야기가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1일 고려대 의대 제1의학관에서 만난 김린
고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국내 수면의학연구자 1세대로 꼽힌다. 이정아 기자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고 말하면 대다수 병원에서는 수면제를 처방합니다. 하지만 수면제를 처방하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 사람이 잠을 자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