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제 안통하는 원인 찾을까...살아있는 세포 RNA 분석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있는 실시간 염기서열 분석(라이브식·Live-seq)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18
일자
에 발표했다. 세포의 RNA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추출해야 하는 이유는 RNA 발현패턴이 실시간으로 달라지기 때문이다. 일정한 양이 고정된 DNA와 달리 RNA는 필요에 따라 '전사'를 통해 만들어진다. 필요할 ... ...
단일분자 움직임 관측해 난치병 실마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 15
일자
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난치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를 밝히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이나 DNA 분자의 형태를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까지 샅샅이 ... ...
눈 건강에 필요한 '루테인' 미생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이용해 고효율로 루테인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카탈리시스' 8월 4
일자
에 발표했다. 루테인은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물질로 노안, 백내장 등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눈 영양제로 많이 사용된다. 최근 노령화와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증가하며 루테인 시장 ... ...
인공 신경으로 척수 손상된 쥐 다리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16
일자
(현지시간)에 게재됐다. 한번 손상된 신경은 재건하기 어렵다. 생체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신체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영구적으로 상실할 수도 있다. 손상된 신경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 ...
살아있는 미생물 이용해 바이오·의약소재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6
수 있는 지질방울 소기관을 개발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월 24
일자
에 발표했다. 지질방울 소기관은 세포 안에서 과잉 생산되는 지방을 축적·저장하는 기관이다. 지용성 분자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지질방울 소기관 내 침투 여부가 달라진다. 연구팀은 지용성 분자와 ... ...
원안위 사무처장에 임승철 국립중앙과학관 전시교육연구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8.15
상임위원(사무처장 겸임)에 위촉됐다. 원안위는 15일 임 전시교육연구단장을 16
일자
로 원안위 상임위원으로 임명한다고 밝혔다. 상임위원 겸 사무처장은 원자력안전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며, 원안위 사무처 업무를 관장한다. 임기는 3년이다. 원안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 ...
35년간 못했던 얼음핵 생성 재현, 슈퍼컴·AI로 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4
연산의 정확도로 시뮬레이션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8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를 이끈 로베르토 카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는 1985년 이미 양자역학 법칙을 이용해 원자와 분자의 물리적 움직임을 예측하는 접근법을 발명했다. 이 접근법에 따르면 원자가 서로 ... ...
먹는 코로나 치료제 담당약국 2배로…라게브리오 14만회 추가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강화하기 위해 치료제 담당 약국을 기존 1000여개소에서 2175개소로 확대한다. 시행
일자
는 조만간 발표된다. 병원급 이상의 병원이라면 진료과목에 상관없이 외래환자에게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원스톱진료기관이나 상급종합병원에서만 먹는 치료제를 ... ...
인간 언어능력의 비밀은 후두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후두가 영장류와 물리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 하드웨어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흔히 울림통이라고 부르는 후두는 목 앞쪽에 위치하는 기관으로 말을 하고 숨을 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과 영장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 ...
노스럽그루먼·파이어플라이 우주발사체 함께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NASA와의 운송 계약이 끝난 후에는 완전히 새로운 발사체 개발에 나선다. 정확한 개발
일자
는 밝히지 않았다. 스콧 레흐르 노스럽그루먼 발사 담당부사장은 “미국 기술 만으로 안타레스 발사체를 만들게 된다”며 “그런 다음 완전히 새로운 중형 발사체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