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의
말다툼
토론
언쟁
분쟁
쟁론
투쟁
뉴스
"
논쟁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인정받았다. 구디너프 교수는 97세로 사상 최고령자로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CNN은 “
논쟁
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은 업적에 시상을 한다”고 밝혔다. 인류에 공헌한 연구업적 중 어느 것을 그 해에 높게 평가할 지 예측이 쉽지 않은 것이다. 데이비드 펜들버리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
2020.09.23
미국 제넨텍사의 인슐린에 승인되면서, 과연 생명정보에 특허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
은 미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NIH는 염기서열 정보의 저작권이 모두에게 있다고 제안한 고드와 빌포스키의 제안서에 손을 들어줄 수 밖에 없었다. 연구공동체의 도덕경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일어날지도 모른다. 게다가 접붙이기는 유전자 차원에서 개입하는 게 아니라서 GMO
논쟁
에서도 자유롭다. 연구자들은 접붙이기를 위해서라도 대목이나 접수로 쓸 잠재력이 있는 야생 식물들을 보존하는 데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천 년 전 농부들이 발명한 기술(물론 ... ...
[일문일답] 최대집 "의정합의문 절차 정당…전공의·의대생 복귀해야"
연합뉴스
l
2020.09.04
차이가 있길래 이런 용어에 집착해서 우리 스스로와 사회에 피해를 야기하나. 소모적인
논쟁
이다. -- 전공의들이 의협의 단독협상이라 비판하는데. ▲ 의협 구조는 회장이 독단행동을 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 회의를 통했고, 혼자 임의로 한 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애니메이션 속의 그 플라스크가 가장 인상적으로 남아 있다. 이는 생명의 기원과 관련된
논쟁
을 종식시켰다. 파스퇴르가 살았던 19세기이면 20세기 직전이고 서양의 제국주의가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대라 (프랑스 군대가 강화도를 점령했던 병인양요가 1866년에 있었다.) 어지간한 주제에 관해서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사이의 격렬한
논쟁
으로 발전하게 된다. 여전히 유전자 염기서열의 특허 문제는
논쟁
적인 이슈이지만, 1980년대 유전자은행이 만들어지던 당시의 미국상황은 분자생물학의 전성기로 미국 대학 전체가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던 시기였다. 이를 고려해보면, 당시 미국립보건원이 월터 ... ...
코로나19 확산세 한창인데 바이러스 이름 바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분류하는 새로운 명명 체계를 표결에 붙이자고 주장한 데 대해 바이러스 학계의
논쟁
이 격화되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현재 바이러스 명명법에 체계가 없다는 비판이다. 학자들은 바이러스 종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름을 붙이고 있다. 발견된 지역이나 숙주인 동물의 이름을 붙이기도 하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99%94/ -홍성욱. (1997). 누가 과학을 두려워하는가. 최근" 과학전쟁"(Science Wars) 의 배경과 그
논쟁
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학사학회지, 19(2), 151-179. -장하석 교수의 책에 과학철학자 이상욱이 쓴 논평도 엉성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는 장하석 교수의 주장을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 번역어 정도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은하이다. 20세기 초까지도 우리의 은하수 은하 밖에 또 다른 은하가 있느냐 없느냐가 큰
논쟁
거리였다. 안드로메다가 우리 은하 속의 성운이 아니라 우리 은하 밖의 독립된 은하임이 밝혀진 것은 1923년이었다. 메시에 목록은 북반구에서 관측한 목록이므로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대마젤란 은하나 ... ...
110억년 우주팽창의 역사 자세히 담은 새 3D 우주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팽창속도 증가율은 작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져 향후 천체물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논쟁
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슬론디지털전천탐사(SDSS) 연구협력단은 그 동안 우주 구조 및 진화 과정 연구의 최근 20년 동안 수행한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금부터 약 110억 년 전까지 우주의 구조와 진화 역사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