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작
시초
착수
출발
기원
처음
원인
뉴스
"
개시
"(으)로 총 400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지목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중증환자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인터페론-2a가 있을 때 세포 표면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침투를
개시
하는 수용체 단백질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바리시티닙이 이 과정을 차단해 감염과 복제를 막고 염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바리시티닙은 ... ...
[백신업데이트] 존슨앤드존슨, 3만명 대상 코로나19 백신 2회접종 임상 시작
연합뉴스
l
2020.11.17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의 2회 접종에 대한 대규모 최종 임상시험을
개시
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3차 임상시험은 3만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J&J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시험을 통해 두 번째 접종으로 백신 효과가 증대되는지 평가하기 위해 1,2차 ... ...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 '나노 단백질'에 주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쓴다. 이를 ‘단일클론항체’라고 부르는데 대부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개시
하는 역할을 하는 표면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인식해 둘러싸 침투를 막는다. 비유하자면 맹수인 호랑이떼가 달려들 때 호랑이의 입만 골라 재갈을 물려 공격을 못하게 막고 결국 굶겨 ... ...
코로나19 'G유형 "세포에선 증식 왕성하지만 백신 효능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변이 유형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체세포 표면의 단백질(ACE2)을 인식해 침투를
개시
하는데, 이 과정을 담당하는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아미노산(단백질의 재료)이 아스파르트산(D)에서 글리신(G)로 바뀌어 D614G 또는 G유형이라고 불린다. 바이러스 게놈 가운데 2만3403~2만3404번 ... ...
논란의 밍크 유래 추정 코로나 변이 살펴보니 "관찰 필요하지만 과대 해석 금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이달 5일(현지시간) 처음 공개한 변이들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세포에 침투할 때
개시
역할을 하는 돌기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4가지 변이를 발견해 ‘클러스터 5’라고 이름 붙였다. 전세계 바이러스 게놈 정보를 공유하는 국제기구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를 매일 ... ...
시리얼을 훔쳐 먹은 개
팝뉴스
l
2020.11.09
제공 시리얼을 훔쳐 먹은
개시
리얼 박스가 폭탄을 맞은 듯이 찢겼다. 내용물은 거실 바다을 뒤덮었다.누가 범인일까. 한눈에 알 수 있다. 반려견의 소행이다.반려견은 시치미를 뗐다고 한다. 아무 일이 없는 듯이 사람들을 반겼다. 하지만 얼굴에 붙어 있는 물증은 떼내지는 못했다.한 미국인 ... ...
정부, 코로나19 국내외 임상시험 전폭 지원…백신확보 준비 착착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환자들에게도 임상시험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방침이다. 또 각 병원이 임상시험
개시
여부를 신속하게 심사할 수 있도록 표준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임상시험 참여기관의 연구비 집행 가이드라인도 제정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다수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할 경우 국가가 지정한 ... ...
[2020 국감]"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日에 강한 유감"결의안 채택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전 10시 19분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개시
하면서 “의사 일정 제1항으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에 대한 일본 정부의 안전한 처리대책 수립 촉구 결의안을 상정한다”며 “이 안건은 한반도와 인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 ...
조기폐쇄 논란 월성1호기 감사결과 보고서, 어떤 내용 담겼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및 한수원 이사회 이사들의 배임행위에 대한 감사’를 요구하면서 시작됐다. 감사
개시
시점부터 따지면 꼬박 386일 만에 결과 보고서가 나왔다. 월성1호기는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해 2012년 11월 설계수명이 만료될 예정이었지만, 5925억 원을 투입해 설비를 보강하면서 수명을 연장했고 이에 따라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마지막 퍼즐’ 감사원 감사…모호한 결론 지적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대한 논란이 일단락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월성 1호기는 상업운전
개시
30년이 되는 2012년 11월 설계수명이 만료돼 가동이 중단됐다. 설계수명 만료 전 한수원은 운전기간 10년 연장에 대한 경제성을 검토하고 2009년 12월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계속운전 심사를 신청했다. 원안위는 2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