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한
국한
규제
특정
일정
조건
유한
d라이브러리
"
한정
"(으)로 총 941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서울대 수시 합격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세부적으로는 ‘학업능력이 우수하고 모집단위 관련 분야에 재능과 열정을 보인 자’로
한정
했다. 겉으로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공부를 잘하고 특별한 재주가 있는 학생만 지원하라’고 못을 박아 놨다. 일반 전형은 단계별 전형을 실시한다. 일부 인원은 2단계 ... ...
한양대 이정은 입학사정관 인터뷰 “면접의 핵심은 인성입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입학사정관 전형인 학업우수자, 미래인재, 브레인한양 전형에서 각 전형에 합격가능성이 높은 학생유형을 알려주세요. 우선 한양대에서는 ... 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양이 많으면 질이 떨어집니다. 올해부터는 30매로 제한했습니다.
한정
된 분량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것도 능력입니다 ... ...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과일을 먹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보기로 했다. 한때 모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계절
한정
메뉴로 냈던 구운 과일이 떠올랐다. 제주도에서는 귤을 구워먹기도 한다는데 자신도 각종 과일을 구워 봐야겠다고 다짐했다.과일 달게 먹는 비법 ➌ 굽고 수분을 조절하라동남아 지역을 여행하다 보면 꼬치에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교미를 할 때 많은 자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암컷이 가지고 있는 난자의 수는
한정
적이다. 한 마리의 수컷이 가지고 있는 정자만으로도 모든 난자를 수정할 수 있다. 그래서 여러 마리의 수컷과 교미를 한다고 반드시 번식성공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더욱이 여러 마리의 수컷과 교미하는 데는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원인은 ‘유령체증’휴가철이나 명절이 되면 어김없이 고속도로가 꽉꽉 막힌다.
한정
된 도로에 많은 차량이 동시에 몰리다 보니 교통체증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가끔은 원인도 모를 교통체증을 겪기도 한다. 신호도 없는 고속도로에 이유도 모를 교통체증은 왜 생기는 걸까?특별한 ... ...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정밀공학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반도체 분야다. 반도체 분야는 집적도를 높여서
한정
된 크기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같은 구조를 좀 더 작게 가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18nm급 메모리를 개발했다면, 18nm(나노미터)급보다 작은 반도체를 가공할 수 있게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건강, 성격 등 유전자를 퍼뜨리는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는 많다. 부모로서는
한정
된 자원을 공평하게 배분하는 것보다는 이런 ‘번식 가치’를 바탕으로 투자하는 게 유리하다. 여러 자녀 중에서 내 유전자를 후세에 더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자녀를 더 아낀다는 게 특별히 이상할 것도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 더웠다 추웠다 정신 없는 지구다연성계의 행성은 물리학적으로 오직 몇 가지
한정
된 안정 궤도만을 돌 수 있다. 두 개의 별이 도는 쌍성의 경우, 둘 중 하나의 항성(별)만을 도는 행성(이를 ‘S 타입’이라고 한다)과 두 항성의 바깥을 도는 행성(이를 ‘P타입’ 또는 ‘쌍성주위행성’이라고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분석한 결과, 미토콘드리아의 대부분이 손상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미토콘드리아는
한정
된 공간에서 면적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크리스테’라는 주름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이 부분에 파괴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과학자와 기술자 협력으로 바이오 ... ...
언터처블 : 5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오목정다면체의 형태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중학교에서는 다면체를 볼록정다면체에
한정
해서 배운다. 정다면체를 볼록정다면체 5개와 오목정다면체 4개를 합쳐서 총 9개라고 배우지 않고, 볼록정다면체 5개만 배우는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오목정다면체라는 개념을 다루지는 않기 때문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