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위논문"(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뜨거운 햇살이 내리 쬐는 8월, 전 세계 125개국 4000여 명의 수학자들이 서울에 모인다는 소식이 들려왔어. 8월 13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래. 혹시 수학을 잘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지 않을까? 수학을 어려워하는  친구들을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녀의 성별에 관해 전해오는 시원통쾌한 이야기 하나. 아버지는 아들을 갖고 싶었지만 첫 아이는 딸이었단다. 아버지는 시시때때로 어머니에게 싫은 소리를 했고, 딸은 그런 아버지를 못마땅해했다. 딸이 학교에서 X와 Y 염색체에 대해 배웠던 날, 또다시 어머니를 구박하는 아버지에게 딸이 회심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우리는 항상 길 찾기를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잘 찾아가는 걸까. 길 찾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능력이 필요하다. 현재 내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고, 여러 경로 중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뇌 속에 있는 지도와 GPS, 그리고 내비게이션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올해도 일본은 노벨상 수상자를 세 명 배출했다. 이번엔 물리학상이다. 이제 일본의 수상은 놀랍지 않다. 노벨상, 특히 과학 분야 상을 발표할 때가 되면 ‘이번엔 누가 받을까’에 앞서 ‘올해도 일본이 받을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 정도다. 1949년 유카와 히데키가 물리학상을 받은 이후, 지금까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스스로 판단해 화기를 발사하는 ‘킬러로봇’이 곧 현실화된다고 한다. 과연 이런 ‘터미네이터’는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재앙을 가져올까, 아니면 유명한 ‘로봇 3원칙’처럼 윤리적 시스템을 도입해 대비할 수 있는 걸까. 로봇윤리에 대한 논쟁은 일상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수많은 ‘봇(bot)’들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학 천재는 타고나는 걸까요? 아니면 끊임없는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걸까요?저 아인슈타인도 이점에 대해 살아 있는 동안 매우 궁금해 했었죠. 그런데 얼마 전 수학 유전자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서 알아보니까 그 연구명이 다름 아닌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지 뭐예요?전 살아생전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영화 ‘뷰티풀 마인드’에서 주인공 존 내쉬가 클럽에 들어온 여성들을 보는 장면. 내쉬는 네 명의 친구가 흑갈색 머리의 여성 네 명에게 각각 춤을 청해야 만족감이 더 높다고 봤다. 이처럼 상대의 선택 하에서 내 선택이 최적이 되므로 더 이상 바꾸지 않는 상태를 ‘내쉬균형’이라고 한다.2002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957년 4월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휴 에버렛 3세의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됐다. 에버렛은 이 논문에서 양자역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방법을 제시했다. 논문이 통과되기 1년 전, 지도교수였던 존 휠러가 양자역학의 대가 보어를 방문해 논문을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 ...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자신이 아는 수학자를 말해 보라고 하면 보통 가우스나 페르마처럼 만날 수 없는 역사 속 수학자들만 떠오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훌륭한 수학자들이 많이 있다. 필즈상 수상자의 논문에 인용되고, 미국의 유명대학들이 우리나라의 젊은 수학자를 모시기 위해 경쟁을 벌일 정도로 맹활약을 펼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이전까지 필즈상을 수상한 수학자들은 모두 52명이다. 모두 세계가 주목한 젊은 천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필즈상을 수상하기까지 거쳐온 과정은 각자 다양하다. 필즈상 수상자들에게는 어떤 뒷이야기가 있을까? 개성이 넘치다 못해 특이하기까지 한 별별 필즈상 수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