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3중으로 안전하게 나노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광선을 이용해 측정되는 광학, 저항, 전파의 3중 특성이 일치해야 하죠. 요소도 많고, 크기도 작아 결국 복제하기에 까다로워지는 셈이에요. 김상욱 교수는 “여러 층의 나노 패턴을 겹치면 여러 선이 얽힌 신경망처럼 따라하기 복잡한 구조를 나타내 보안이 뛰어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홈이 있다. 원통형의 몸체에는 약물이 담겼고, 약물이 나올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구멍이 있다. 기존 주사기와 달리 피스톤은 없다. 그래서 도장을 찍듯 20개의 바늘을 피부에 닿게 하면 바늘이 피부 틈을 미세하게 벌리고, 몸체에서 약물이 나와 바늘 겉을 타고 흐르며 피내에 약물을 넣어준다 ... ...
- [메타버스 활용법] 액션 모드와 AR 필터로 신기한 영상 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아바타를 선택해 원하는 포토부스를 선택한 뒤 엄지와 검지로 아바타를 돌릴 수 있어요. 크기를 크고 작게 조절할 수도 있고,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도 있죠. 나만의 동작을 개성 있게 만들 수 있답니다. 두 번째 기능인 ‘카메라’를 터치하면, 제페토에 있는 내 아바타를 현실 속 우리집으로 ... ...
- [똥손 수학체험실] 육각형부터 이십각형까지, 삼각형은 변신의 귀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쪼개져요. 삼각형 6개가 모여 육각형으로 변신한다고 볼 수도 있지요.그런가 하면 같은 크기의 정삼각형 20개를 이어붙여 왼쪽과 같은 정이십면체를 만들 수도 있어요. 정이십면체를 이루는 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두 세 변의 길이가 같은 정삼각형이지요. 똥손 기자 뒤에 있는 둥근 공 같은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어떤 것의 크기를 나타낼 때 수와 같은 대수적 크기와 선분이나 각과 같은 기하학적 크기를 구분하지 않았어요. 예를 들어 A + B라고 표현된 식은 A와 B라는 두 수의 덧셈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고, A와 B라는 두 선분을 연장한 기하학적 대상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지요. 이는 대수학과 기하학의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몰려온다 5월 수도권에선 ‘팅커벨’과의 전투가 벌어졌다. 손가락 두 마디 정도 되는 크기와 연둣빛 날개 덕에 귀여운 별명이 붙은 동양하루살이 이야기다. 5월 한 달간 서울 송파구, 성동구, 광진구나 경기도 남양주 등 도심에 동양하루살이가 수백 마리씩 유입되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각 ... ...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결과도 나왔습니다. 장내미생물과 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투여하는 것이 흑색종의 크기를 유의미하게 축소했음을 증명한 논문이 ‘사이언스’에 실렸습니다. doi: 10.1126/science.aan4236 이 두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장내미생물 연구는 기존의 진단이나 치료제 개발에서 개인의 건강을 위한 맞춤형 ... ...
- [냠냠! 어수잼] 우리 집이 날아갔어! 다정이의 사라진 정다각집2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집 창문은 정사각형이에요. 여기 떨어진 창문 중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네 각의 크기도 직각으로 모두 같은 사각형이 정사각형이지요. 그럼 어떤 게 우리 집 창문인지 같이 찾아볼까요? ☞오디오로 들어요 ... ...
- [출동, 슈퍼M] 색종이는 왜 정사각형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또, 가로와 세로가 각각 30cm인 색종이의 넓이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15cm인 색종이 4개의 크기와 같지요. 왜 정사각형 색종이가 가장 많을까? 사각형의 종류는 다양해요.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등이 있지요. 그중에서도 색종이는 왜 하필 정사각형 모양일까요? 슈퍼M이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곤충을 연구한 석주명이 보기에 이들의 연구는 빈틈이 많았다. 특히 같은 종의 나비를 크기와 색깔 등이 조금 다르다는 이유로 신종으로 보고하는 일이 잦았다. 이는 일본인 연구자들이 너무 적은 수의 표본을 바탕으로 결론을 냈기 때문이다. 석주명은 전국을 무대로 십여 년간 매주 채집 여행을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