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충분"(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다양한 종류의 친환경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친환경 에너지가 인류에게 충분한 양만큼 에너지를 뽑아내려면 기어이 환경을 훼손하고 만다. 핵융합은 제한된 장소에서 주변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며 대량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1g의 중수소와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때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바닷물에서 충분한 양을 분리할 수 있는 중수소와 달리, 삼중수소는 지구상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양이 거의 없다. 이에 한국을 비롯한 ITER 참가국들은 자연계에 풍부한 리튬을 이용해 삼중수소를 공급하는 ... ...
- 손난로 유니버스, 최강자를 가려보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넣고 주물러 섞으면 됩니다. 결과는 흔들이 손난로보단 약했지만 시린 손을 녹이기엔 충분했습니다. 채소 간 것 100g과 과탄산소듐 50g을 섞은 결과, 무의 경우 실험 3분 후 약 31.0℃, 10분 후 약 33.8℃로 온도가 상승했고, 당근은 실험 3분 후 약 40.0℃, 10분 후 약 41.6℃까지 온도가 올라갔습니다. 이성국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차 산업혁명과 앞으로 나타날 5차, 6차 산업혁명은 정말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할 겁니다. 충분한 양의 에너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경제 수준에 따라 기술의 격차가 발생할 것은 분명합니다. 핵융합 발전소는 지금까지 운영돼온 그 어떤 발전소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이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계획을 수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수험자의 정면만 가리는 가림막은 비말을 차단하기에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이럴 때 필요한 건 실험! 과학동아는 경기 고양시에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찾아갔습니다. 이곳 실내공기품질연구단이 고속 카메라와 입자의 흐름을 계측하는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반수소 원자들을 반리튬 원자로 감싼 채로 보관하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반물질을 충분한 양으로 모으는 연구가 먼저 진행되어야 하겠지만요. 반물질을 1g 이상은 모아야 하는데, 지금은 원자 하나 하나를 겨우 만드는 정도거든요. Q.아직 현실이 되려면 한참 멀었군요?하지만 많은 연구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나만의 정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나올 수 있어야 한다”며 “씨앗 위의 흙은 아주 조금만 살짝 흩뿌리는 느낌 정도면 충분하다”고 설명했어요.그다음으로는 미리 준비한 물통에 물을 담아 골고루 뿌려주었어요. 단, 흙과 씨앗이 잠기지 않을 정도로 주는 게 중요해요. 그렇지 않으면 씨앗이 썩어버리거든요. 완성된 화분을 퍼즐 집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로봇이 비슷한 수준의 대우를 받는다면, 아시모프 로봇 3원칙은 어떻게 될까요. 그대로 충분할까요. 아니면 수정이 필요할까요.많은 사람들이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만, 사실 1950년대 한 SF 작가가 소설을 쓰며 언급한 내용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실제 인공지능 로봇 연구 ...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밝혔다. 이에 대해 과학계는 유전자 편집의 안전성과 생명윤리에 대한 논의가 충분치 않았다며 비난했다.이처럼 유전자 가위 기술 뒤에는 항상 윤리적인 질문이 따른다. 노벨위원회 역시 10월 7일 수상자 발표에서 유전자 가위는 인류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 아기’를 만드는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1m2 당 최대 10W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전하기에 충분한 양이다.2016년 미국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활용하는 팔찌를 개발했다(사진). 이 팔찌는 섬유 기반의 마찰 나노 발전기와 경량 고분자 태양전지 섬유를 결합해 만들었으며, 다른 물체와의 마찰과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