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d라이브러리
"
최저
"(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최대 강풍 부는 극한지대 해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트리톤의 첫인상은 거대한 스키장 같았다. 트리톤의 표면 온도는 우리가 관측한 태양계
최저
온도인 영하 2백35℃였고 대기는 지구대기보다 7만분의 1이나 엷었다. 표면은 되풀이해 녹고 어는 과정에서 생긴 균열들로 그물처럼 덮여 있었다. 트리톤은 완전히 지질학적으로 죽은 것일까. 보이저가 ... ...
알래스카 빙하 두께 연간 50cm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바닥상태(또는 준안정상태)와 이 상태로 전기2중극 자복사에 의한 전이가 허용되는
최저
들뜬상태의 에너지 차 들뜸포텐셜 또는 공명전위라고도 한다 한 분자의 구조를 두 개 이상의 극한구조의 중첩에 의해 표시할 수 있을 때 이를 공명혼성체라 한다 특히 불포화결합이나 비공유전자쌍을 가지는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電機子)에 일정한 전압을 주어 여자정류(勵磁電流)를 광범위하게 바꾸고 최고속도와
최저
속도의 비를 2내지 3까지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다 p-n접합에서 전이 영역 용량의 전압종속성에 따라 다이오드가 나타내는 전기 용량을 외부전압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이용한 반도체다이오드 제어그리드의 ... ...
미지의 화합물 저축해 무한가치 창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신약개발에서 ‘노다지’의 역할을 한다.최근 신약연구의 화두는 최단시간에
최저
비용으로 최고의 약효를 갖는 독창적인 신약을 남보다 빨리 창출하는 것이다. 신약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미세화 기술에 기반을 둔 고효율합성(조합화학)과 약효시험(HTS)기술이 도입됐고, 이를 중재할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물체를 냉동액체에 담그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최저
온도는 4K. 가장 낮은 냉동액체인 액체헬륨의 끊는점이 4K이기 때문이다.그러면 4K보다 낮은 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동원해야 할까. 먼저 생각해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액체헬륨을 강제로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넘는 데다 가장 밝을 때는 눈에 잘 뜨일 만큼 밝아지고, 어두울 때는 간신히 보이는
최저
등급인 6등급보다도 어두워 잘 안보인다. 그래서 맨눈으로 보기에도 참으로 드라마틱하게 밝기가 변화해 대단히 유명하다.미라의 밝기 변화나 주기는 정확히 일정하지는 않다. 평균적으로 미라의 밝기 주기는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성산 일출봉대표적인 제주도 화구 중 하나. 최고 정상은 1백92m이고 분화구내의
최저
고도는 98m다. 폭발적인 화산활동으로 형성됐다. 해안가로 내려가면 퇴적층을 자세히 볼 수 있다. 일출봉에 올라 한라산 방향으로 아래 지형을 살펴보면 좁은 모래톱 모양의 지형이 눈에 들어온다. 육계도라고 불리는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없는 천체의 표면에서 물체를 던졌을 때 그 물체가 천체의 중력권을 탈출하게 만드는
최저
속도를 탈출 속도라고 한다. 우리 지구의 경우 탈출 속도는 초속 11.2km다.★ 천체의 탈출 속도는 천체의 질량뿐만 아니라 크기에도 관련된다. 만일 지구가 수축해 작아지면 탈출 속도는 점점 커져야 한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에 의해 결정되고, 이를 압력의 단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재 인간이 얻을 수 있는
최저
압력인 {$10}^{-11}$Pa(파스칼, 1기압=1.013×${10}^{5}$Pa) 상태의 극고진공에는 1㎤당 2천5백여개의 기체분자가 있다. 이때 기체분자는 다른 분자와 충돌 없이 5만km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갓 쪼갠 물체의 표면을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다. 지금은 하루에 약 5백m씩 낙하하고 있다. 1월 6일 아침 10시경 미르 우주정거장의
최저
고도가 2백95.8km였다. 원래의 정상궤도가 3백80km에서 4백10km 사이였으므로 비행궤도가 정상보다 85km 정도나 낮아진 셈이다. 미르가 지구에 가까워질수록 공기와의 마찰이 커지기 때문에 점차 고도가 낮아질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