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양자가 열어준 토끼굴 속으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활용돼왔다. 그런데 양자역학이 정말로 순간이동을 가능케 할 거란 이야기가 있다. 0
초
만에 양자의 정보를 멀리 떨어진 곳까지 전달하는 ‘양자전송’을 통해서다. 양자역학의 도움을 받아 세상 어디든 순식간에 갈 수 있는 토끼굴을 열 수 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특집] 양자역학적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공동수상한 안톤 차일링거 오스트리아 빈대 교수도 양자전송을 연구했다. 1997년 세계 최
초
로 광자를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한 일은 그의 최대 업적 중 하나다. 그런데 차일링거 교수는 “이것은 스타트렉에 나오는 것과 전혀 다르다. 사람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양자전송은 얽힘을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극지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단 단장이 대답했다. 2010년
초
는 우리나라 최
초
의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가 진수식을 가진 지 반년이 겨우 지난 시점이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예비타당성 조사에 통과한 것은 2021년 6월의 일이었지만, 첫 논의는 아라온호가 운항을 시작하면서 거의 곧바로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주었다. 양 교수의 두 연구도 마찬가지다. “당신이 화장실에 갔는데, 소변을 보는 데 21
초
가 아니라 1분이 걸렸다고 생각해봐요. 이건 분명히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뜻입니다.” ‘처음엔 웃음이 나오지만, 곧이어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만드는 연구’. 이그노벨상의 모토에 생체 유체역학의 ... ...
[가상 인터뷰] 윙윙~ 꿀벌 날갯짓에 천둥 구름이 발생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파헤쳐볼게요!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보다시피 난 평범한 꿀벌이야. 꿀벌은 1
초
에 200번이 넘는 날갯짓을 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켜. 그래서 우리가 앉은 꽃은 전기적 성질을 띠게 대전된단다. 우리 꿀벌은 이런 전기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그래서 우리는 대전된 꽃을 찾아 꿀을 ... ...
[통합과학 교과서] 손오공, 부처의 손바닥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등 날씨가 발사에 적합한지도 민감하게 고려해야 실패를 막을 수 있죠. 이 때문에 올해
초
발사 예정이었던 SLS 로켓은 날씨 및 연료 누수 등의 문제로 연기되며 11월이 되어서야 우주로 향할 수 있었어요.아르테미스 미션은 총 3단계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에 발사된 아르테미스 1호는 마네킹을 ... ...
[꿀꺽! 수학 한 입] 착한 콩쥐를 모두가 도와줘~!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4호
두꺼비도 무척 힘이 셌던게 분명해요. 물 180L의 무게는 약 180kg이거든요. 우리나라
초
등학교 3학년 학생의 평균 몸무게가 약 30kg이니, 180kg은 3학년 학생 6명의 몸무게와 같지요. 하지만 아무리 튼튼한 두꺼비라도 온종일 등에 180kg을 이고 있는 것은 힘들 테니, 콩쥐가 잔치에 갔다가 빨리 돌아오길 ... ...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아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AI 프로그램을 이용해 제작한 거였죠. 미드저니는 설명문을 입력하면 몇
초
만에 그림으로 변환시켜주는 AI 프로그램입니다. 대회 참가자들은 정당하지 않다고 항의했지만, 엘런은 “아무도 속인 적이 없고 어떤 규정도 어기지 않았다”고 반박했어요. 주최측 또한 엘런의 우승을 인정했죠. 앞으로는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반응하지 않아 지구에 도달해서도 아무 반응 없이 0.04
초
만에 관통해 버려요. 심지어 1
초
에 100조 개의 중성미자가 인간의 몸을 통과할 정도죠. 있는 듯 없는 듯 하다며 ‘우주의 유령’으로 불려요. 그런데 남극 얼음에서 발견됐다면서요?남극에는 2010년에 설립된 중성미자 연구 시설인 ‘아이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우주순찰대 최대의 위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3호
빠지는 순간 바닥이 크게 진동했습니다. 아까보다 훨씬 심해서 다들 비틀거렸습니다.“
초
무한증폭엔진이 속도를 높였나 봐!”루띠가 외쳤습니다. 그때 통신기에서 라일락의 목소리가 들렸습니다.“본부가 블랙홀에 가까워지고 있어. 방금 진동은 블랙홀의 중력 때문에 본부가 부서지고 있기 때문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