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인
d라이브러리
"
철학자
"(으)로 총 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은빛 강이 아니라 별들의 무리가 보였기 때문이다.태양계의 성운설을 제창한 독일
철학자
인 임마누엘 칸트는 태양계가 만들어지는 것(성운설)과 같은 원리로 우리 은하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했다. 즉 회전하는 거대한 성운이 수축하면서 원반 모양이 되고 원반에서 별이 탄생했으며, 은하수는 원반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사고 근거에 과학이 본격적으로 포함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엄 교수는 “다윈 이후
철학자
들은 어떤 가설을 만들 때 진화론을 포함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엄 교수는 진화론의 영역이 너무 넓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진화론을 중심으로 학문을 묶으려는 ... ...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모든 선과 일정한 각을 이루는 곡선을 등각 나선이라고 한다. 1638년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
인 데카르트가 처음 등각 나선이라고 불렀다. 아하! 생각이 쑥쑥! 수학으로 디자인하다정삼각형은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면 작은 정삼각형으로 4등분된다. 그림과 같이 작은 정삼각형의 한 변에 같은 ... ...
수학을 잘 해야 추리를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사건을 추리하는 방법이 같다고? 수학 문제를 풀 때도 추리가 필요하다는 건가?영국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은 “사람은 확인되지 않은 어떤 사실을 확실히 증명할 필요성을 느끼고 살아가기 때문에 추리는 인생의 위대한 임무”라고 말했어요. 특히 법조인은 사건을 분석하고 법에 따라 판결을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다시 학교로 돌아가 철학과 대학원 과정에 입학했다. 그리고 이곳에서 유명한 과학
철학자
인 루돌프 카르납 교수를 만난다. 카르납 교수의 전공은 논리학, 수학의 기초, 그리고 물리학이었다. 그는 형이상학, 종교, 도덕, 아름다움처럼 경험으로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은 외면하고 수학적 명제를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짝이 없다. 게다가 항해에 대한 그의 지식은 다른 이들보다 나을 게 없다.”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이 기원전 360년경 ‘국가론’에 남긴 말이다. 플라톤은 왜 이런 말을 했을까. 여기에서 플라톤은 선원들이 겉모습에 속아서 능력 있는 선장을 뽑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겉모습으로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서로 합동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로부터 삼각형의 합동도 공부할 수 있습니다.
철학자
플라톤은 직선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은 모두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삼각형을 가장 기본이 되는 평면도형이라고 했습니다. 작도를 직접 해 보면 이 말이 이해가 됩니다.만남4_평면도형의 성질과 ... ...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삼각주를 델타(delta)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삼각형이라는 모양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헤로도투스가 이집트 나일 강의 삼각주를 가리켜 삼각형 모양의 그리스 문자 △(델타)로 이름지었던 것이다. 미술에서 다각형 찾기 자연의 모습을 잘 관찰하면 자연물마다 제각각 다른 모양과 특성을 ... ...
사람은 성격으로 세상을 만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고칠 수 있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사실이다.그리스의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우리는 일어난 일 때문에 힘든 것이 아니라 그 일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힘들어진다”는 말을 남겼다. 그런데 여기서 ‘그 일을 어떻게 보는가’가 바로 사람의 성격이다. 우린 자신의 ... ...
내면의 조율사,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런 면에서 언어는 인간을 다스리는 자기 자신만의 ‘정부기관’인 셈이다.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생각을 가리켜 ‘자기 자신과의 대화’라고 했다. 일기를 쓰는 것 역시 자신과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와의 대화를 시도할 때 흔히 언어영역이라고 부르는 좌측하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