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배에 있는 굵은 황갈색 가로띠를 보고 쉽게 찾을 수 있지요. 이름처럼 꽃의 꿀을
채집
해 저장하는 벌로 꿀벌의 꿀을 ‘벌꿀’이라고 부른답니다. 꿀벌은 사회생활을 하는 것으로 유명해요. 꿀벌은 왁스 성분인 밀랍을 분비해 육각형 방들로 이뤄진 벌집을 만들어요. 그 안에는 아주 많은 일벌들과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부의 격차가 상당했다고 연구팀은 보고 있다.그런데 지금까지 평등하다고 생각해온 수렵
채집
사회에서 어떻게 불평등이 생겨난 걸까. 더글라스 프라이스 위스콘신대 교수는 “먹을 것이 풍부한 곳에서 정착 생활을 하다보면 먹고 남는 식량이 생기는데 이때 불평등도 생겨나고 지배 행동도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사회를 구축하는 과정과 대단히 비슷하다. 새장 대신 사회가 됐을 뿐, 포식자의 위험과
채집
의 노고, 잡종 교배의 위험에서 해방됐다는 점은 같다. 혹시 사람 역시 사회를 이루면서 더 복잡한 언어를 말하는 사람에 대한 성선택이 일어났고, 그 변화가 점점 더 복잡한 인간 언어의 탄생을 촉진하지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Robotic Mining Competition)’를 개최했다. ‘스타크래프트’에서 광물과 가스를
채집
하던 ‘SCV’와 비슷한 로봇을 만들어 실력을 겨루는 대회다. 올해가 5번째인 이 대회는 지난해까지 ‘달탐사로봇채굴대회(Lunabotics Mining Competition)’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중력을 달과 비슷한 6분의 1 수준으로 낮춘 ...
걸음걸이도 수학이다! 랜덤 워크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패턴은 이미 상어나 꿀벌과 같은 동물의 이동 패턴에서도 발견되었기 때문에, 사냥과
채집
을 하는 동물들의 본능적인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레비 워크라는 수학적 패턴을 통해 동물과 사람의 움직임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또한 연구팀은 “인간의 이동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물질 때문이다. 1653년 니콜라스 컬페퍼가 펴낸 ‘약용식물전집’에는 “사프란의 암술을
채집
해 전용 건조실에서 조심스럽게 말린 후에 만든 사각형 덩어리가 바로 상점에서 파는 사프란”이라고 적혀 있다. 암술은 꽃마다 오직 세 개만 있기 때문에 사프란 1kg을 만드는 데 약 15만 송이의 꽃이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이끄는 카리스마 넘치는 사람이 그 중심에 있다.외부의 적 만들고, 내부 충성심 고취수렵
채집
시대에 인간의 부족은 대체로 고립되어 지내왔다. 집단 간 무역은 각 부족의 세력이 미치지 않는 중간지대에서 이루어졌다.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은 바로 선전포고였다. 침팬지 사회에서도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조건 덕분에 지구 밖에서 들어온 운석은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보존되어있다. 운석을
채집
해 습기를 완전히 말린 뒤, 청정하게 보관해야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장보고기지에는 이 운석을 보존하기 위한 1차 저장소가 준비될 예정이다.사실 전부 ‘예정’이라고 쓴 이유는 장보고기지 준공식을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NASA(미국항공우주국)에서 쏘아올린 우주탐사선 스타더스트는 2004년, 에어로젤로 만든
채집
망으로 혜성 ‘빌트2’에서 떨어진 입자를 담아 지구로 보내기도 했어요.달콤한 커피가 생각나는 카푸치노 해변호주 퀸즐랜드주 선샤인코스트는 몇 년에 한 번씩 파도거품이 카푸치노처럼 뭉게뭉게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촬영하는 일에 도전하기 시작했다.그러나 눈 결정을 촬영하는 건 무척 어려운 일이었다.
채집
한 눈을 꺼내면 금방 녹아버려 그 형체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벤틀리는 먼저 자신이 갖고 있던 현미경에 카메라를 달아서 눈 결정을 찍을 수 있는 독창적인 장치를 만들어 냈다.하지만 이 장치를 써도 눈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