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위한 생태해설사를 양성하고 시민과학 프로그램을 만들어, 경기도 지역 중고등학생들을 참여시킬 계획이다. 뭘 분석하셨나요?생태적 특성에 따른 생물 종 차이를 지도로 시각화해보고 싶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알려진 매미에 집중했습니다. 분석 결과, 매미는 종에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 세상에서 친구 사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만날 때 조심할 점을 생각하고 적어 봅시다. 여러분의 경험을 이야기해도 좋아요. 참여 방법팝콘플래닛 홈페이지 – 플레이콘 놀이터 - 토크토크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 [지구사랑 탐사대] 대한민국 대표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참여 기회➋ 수료 조건 충족 시 탐사 활동 인증서 발급➌ 계절마다 출현하는 생물종 미션 참여 기회➍ 나의 탐사 기록을 PDF로 내려받을 수 있는 생태 포트폴리오 제공 활동 방법1 팝콘플래닛 설치하기지구사랑탐사대로 선발되면 스마트폰에 팝콘플래닛 앱을 설치해 주세요. 모든 탐사기록은 ... ...
- [수학 플레이리스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예비 초등학생부터 6학년까지 단계별로 나뉜 책을 읽고 책 속의 재미있는 수학 활동에도 참여해 보세요! 만만한수학 무한호텔김성화, 권수진 글 | 한성민 그림 | 만만한책방 | 13,000원 무한호텔에는 방이 무한 개 있어요. 인기가 아주 많아서, 무한 개의 방은 언제나 손님으로 꽉 차 있지요. 여기서 ... ...
- [광고] 올해 과학과 역사, 문화를 모두 담았다! 내셔널지오그래픽 키즈 사이언스 2023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바다거북 그림이 실려 있어요. 지난해 해양 생물을 주제로 진행된 사이언스 챌린지에 참여해 선정된 친구의 작품이지요. 올해도 사이언스 챌린지는 계속됩니다. 여러분도 도전해 보세요. 올해 챌린지는 나무 꼭대기를 연구하는 나무탐사가의 인터뷰를 읽고, 나무가 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해 글과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에서 한복 입자, 설날이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자랑해 보세요. 참여자 중 3명에게 착용한 한복 아이템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 방법팝콘플래닛 > 플레이콘 > 어과동 놀이터 > 사진터에 댓글로 올리기. 8화 당첨자박서현 독자가 신라면 분식점에 들어가 라면을 만들었습니다. 어린이들이 많이 먹을 만한 라면을 생각해 봤다는데, 조리 ... ...
- 드라마 눈의 여왕 관계자들의 찐 반응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대중에게 소위 괴짜로 묘사되던 수학자 이미지를 조금 바꿔보자는 생각으로 자문에 참여했지요. 세키 교수의 소식은 2021년 2월 KAIST 수리과학과가 주관한 온라인 강연을 보다가 알게 됐어요. 세키 교수와 공동연구한 카이 교수가 이 논문의 내용을 설명했는데, 거기서 눈의 여왕 이야기와 함께 세키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학생들과 테셀레이션을 이용해 나만의 티셔츠를 만든다고 하는데요.기자가 수업에 직접 참여해 티셔츠를 잘~ 만드는 꿀팁을 전수받았습니다! 테셀레이션이 가능한 모양은? 테셀레이션이란 한 가지 이상의 도형을 이용해 빈틈없이 평면 또는 공간을 채우는 것을 말합니다. 모자이크, 보도블록, 벽지 ...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6개월 동안 활동하며 과학동아 표지를 정하고, 기사를 평가합니다. 2023년 하반기 개편에 참여해 또 한번 과학동아를 뒤바꿀 겁니다.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과학동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재밌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도와주신다면요. 함께해 주실 거죠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야기다. Seq2Seq 모델은 사용자가 첫 행을 입력하면 그에 어울리는 다음 행을 제시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이 시에서 인간은 ‘아주 한참을 기다린다’란 행만 썼다. 뒤를 이어 두 번째 행부터 끝까지 쓴 건 AI다(5행의 ‘열어주는’은 ‘열어줄’의 오타로 보임). 시인, 작곡가, 화가. 모두 AI가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