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대학교
중앙대
중앙대학
광대
위대
웅대
중요성
d라이브러리
"
중대
"(으)로 총 365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싫다. 바로 그 다음이 좋아. 그 다음은 개척자의 실수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거기서
중대
한 교훈을 얻을수 있기 때문이다.' 크레이는 항상 최첨단 기술보다는 조금 뒤떨어지지만, 안전하고 확실한 기술을 선호했다. 그는 CDC7600을 만들때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믿을 수 없다며 그동안 사용해온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토착종 조류와 어떤 관계를 맺을지 모르지만 만약에 토착종에 타격을 입힌다면 이는
중대
한 문제가 아닐 수없다.물론 까치가 해로운 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해충을 잡아먹을 수도 있고 '반가운 소식'을 전해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연적인 서식이 아니라 인위적인 방사로 원래의 먹이사슬을 ... ...
한글코드 「조합형」으로 바꿔야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따라 단어를 검색하는 일 또한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컴퓨터에서 한글을 다루는데
중대
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프로그래머들은 말한다.그러면 이렇게 여러가지 문제를 발생시키는 2바이트 완성형 코드가 어떻게 국가표준으로 결정됐는가. 여기에는 일부 학자들과 관료들의 편의주의적이고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해양계 탄소순환에 참여하는 것이다.해양계의 탄소순환은 지구전체의 기후변화에
중대
한 영향을 미친다. 현재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석탄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의 사용이 해마다 늘고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온실효과라고 하는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지구는 점차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특히 생화학적인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이 사건의
중대
성을 깨달은 GEPAN은 목격자의 신빙성을 조사하기 위해 인간행동과학 연구소의 전문가를 동원했고, 지면의 자국을 조사하기 위해 물리화학 연구소들의 지원을 받았으며, 주변 식물들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생화학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극심한 지속성 재발성 코피는 절대 무심코 넘겨서는 안된다.
중대
한 의학적 장애가 출혈의 원인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어떤 심각한 질병에 걸렸을 때 코피를 흘리게 될까. 열거하면 혈액과 그 응고메커니즘의 이상(異常) 혈관질환 고혈압 코와 부비강의 질병과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자연히 우뇌는 잠자는 뇌가 되고 만다. 삶의 과정을 통해서 우뇌의 기능과 역할은 실로
중대
하다. 우뇌는 무한한 아이디어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생활하면서 부딪치는 문제는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에 의해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우뇌를 사용하지 않아 잠재해 있는 능력을 ... ...
PART2 실리콘 밸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도시 등을 낳게 한 모델이 됐다. 또한 실리콘밸리가 창출한 첨단기술은 세계기술사에
중대
한 영항을 끼쳤고 오늘의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기반이 되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영웅들실리콘밸리의 성공담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애플 신화'의 두 주역 스티브 좁스와 스테판 워즈니액의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스트레스에 빠진 사람이 더 긴 수면시간을 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반면 인생에서
중대
한 변화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거나 스스로 원하는 즐거운 일을 할 때는 수면시간이 줄어 들었다.잠이 건강과 무관하지 않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지금부터 수면과 직접 관련된 질환에 대해 좀 더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개선에 인간공학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물론 중금속 중독 등에 의한 피해도
중대
하지만은 대부분의 산업재해가 과로 부주의 불합리한 작업방법에서 기인하는 안전사고들이다.대개 직업병의 경우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요인에 노출될 때 발생하므로 여간해서는 문제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