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
손가락 관절부
손가락 마디 뼈
d라이브러리
"
주먹
"(으)로 총 26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것을 말한다. 이 환각 현상은 대단히 섬세하고 사실적이어서 어떤 때는 손가락들이
주먹
을 쥔 것 같기도 하고, 다른 날은 손바닥을 펼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며, 심지어는 손등에 벌레가 한마리 기어가는 것과 같은 간지러움까지도 경험한다.이에 반하여 '편측무시'(hemineglect)라는 매우 생소하게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배설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인간의 신장(콩팥)은 두개로 강낭콩 모양의 기관인데 크기는
주먹
만하다. 이들은 등쪽 척추 양쪽 체벽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 신장의 상부에는 간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왼쪽 신장보다 조금 낮다. 신장의 무게는 체중의 0.5%(신장 1개의 무게는 1백50g 정도, 길이는 약 1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것이다.정상 성인의 심장 크기는 길이 15㎝, 가장 넓은 곳의 폭이 10㎝정도로 대략 자기의
주먹
크기와 비슷하다.심장은 혈액이 전신으로 순환할 수 있는 힘을 주는 펌프다. 이 펌프는 쉽게 지쳐버리는 연약한 펌프가 아니고 평생을 통하여 잠시도 쉬지 않고 계속 일하는 강력한 펌프다. 심장이 잠시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판매장이나 학교 과학실에서 천체망원경의 모습을 보면 "이것으로 밤하늘을 보면 별이
주먹
만하게 보이고 또 우주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뭔가를 볼 수 있는거구나!"라고 누구나 생각한다.이러한 기분으로 부푼 기대감과 함께 벼르고 별러서 많은 돈을 주고 구입한 천체망원경을 통해 처음으로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신에 대한 경외감을 감추지 못하였다. 성수가 조금 부족하게 흘러나와도 그 동전구멍을
주먹
으로 치는 불경스런 행동은 상상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단지 부족한 성수는 자신의 불성실한 행동을 반추하게 되어 참회의 기도로 이어지게 된다.이같이 인공적인 생명체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은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펀치의 파괴력보다 정확도가 점수따기에 더 유리하므로 잽이나 스트레이트 같이
주먹
을 많이 내는 선수가 이길 확률이 많다는 것. 팔길이가 짧고 유연성이 부족한 대신 큰 것 한방을 노리는 경향이 많은 우리나라 선수들은 컴퓨터채점제에 적응하지 못해 고전하고 있다. 프로야구에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삿대질을 하면서 싸우는 풍경은 10년내에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대신 자동판매기를
주먹
으로 두들기다 50볼트 전류의 짜릿한 응징에 깜짝 놀라게 될지도 모른다.전자화폐의 등장으로 탈세를 하거나 마누라 몰래 봉급을 빼돌려 술집에서 향략비로 즐기게 되는 일은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3분만에 6, 7개의 콩을 3mm에서 15mm까지 싹을 트게 했고 나침반을 3분간 집중해 본 뒤
주먹
을 좌우로 돌려 나침반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했다.시계를 11시에 맞춰 놓고 '돌아가라'라고 30초 동안 소리치자 시계가 반대방향으로 35분 돌아 10시 25분이 돼 버렸다. 달걀 부화도 시험해 3분뒤 껍질이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주었다.이러한 분석결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다. 왜냐하면 이 시기가 되면 일반적으로
주먹
도끼나 가로날도끼 등과 같은 고졸한 형식의 도구들은 거의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고고학자들에게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왜 이렇게 '늦은' 시기까지도 그들은 그토록 오래된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한전이 적극 권장하고 있는 전기절약방식은 빙축열냉방시스템. 전기가 남아도는 심야에
주먹
크기 만한 물주머니를 많이 얼렸다가 낮시간에 이를 녹여 냉방용으로 사용한다는 원리다. 기존의 수축열냉방시스템에 비해 10배 이상 열효율이 높으며 전기 요금이 싼 심야전력을 이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