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자
보조자
통역
어학 선생
비서
서기
친구
d라이브러리
"
조수
"(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갖추어 20년 이후에는 전자기의 실험연구에 몰두했다 1850~1918 독일의 세균학자 R 코흐의
조수
이자 그의 후계자로서 코흐를 따라 콜레라 연구위원회의 일원으로 이집트 · 동인도에 갔고(1883), 후에 인도의 페스트 연구위원회 회장이 되었다(97)1778~1850 프랑스의 화학자 · 물리학자 23세 때 기체의 온도에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런 황새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한때 벼농사를 방해한다는 오해로 수렵
조수
로까지 취급됐던 텃새 황새를 보전하기 위해 일본의 마지막 황새 서식지이자 현재 황새고향공원이 있는 효고현 도요오카시에 1955년부터 ‘황새보호협찬회’를 조직했다.하지만 이미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 ...
에메랄드 빛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미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할 열쇠로도 여겨지고 있답니다.끊임없이 밀려오는 파도와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면 전기 에너지를 만들 수도 있죠. 오염물질을 깨끗하게 만드는 바다의 자정 능력도 보물 중의 하나랍니다. 이렇게 보물로 가득한 바다지만 해양 생물들을 너무 많이 잡아들이고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각각의 액상으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안정시키는 것이 에멀션화제(化劑)
조수
의 간만(汗滿)에 의한 수위차에서 발생하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따라서 간만의 차가 심해야 하므로 지역적으로 한정된 장소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서해안은 비교적 간만의 차가 커서, 인천의 경우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학에 입학, F W 베셀의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과 동시에 그의
조수
가 되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원거리 해양에 직접 가지 않고 관측하는 시스템 데이터 수집위성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해면의 부표(浮標)나 기구(氣球), 또는 동물 등에 부착시킨 발신기에서 발사된 전파를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런 상황에서 보일은 공기의 탄성을 직접 보여주기 위해 실험을 고안했다. 자신의
조수
였던 로버트 훅과 함께 만든 기구는 비교적 간단했다.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J’형 유리관을 준비해 짧은 쪽 끝을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막았다. 그리고 유리관에 1인치 단위로 종이를 붙여 눈금을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책을 펴냈다. 힘과 물질을 통합하는 ‘통일장 이론’에 대한 책이었다. 당시 연구
조수
였던 존 케메니(훗날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이 됨)는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모든 정열을 다 바쳐서 우주의 법칙을 찾으려 했다”고 회고했다.아인슈타인에게는 상대성이론의 큰 성공만이 아니라 실패도 있었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바로 상대성이라 카이.” “그라문, 갸는 그걸로 밥 벌어 묵고 사나?”아인슈타인의 연구
조수
중에는 1948~ 1949년에 일했던 헝가리 출신 존 케메니가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자기가 즐기는 유머를 되풀이해 얘기했기 때문에 케메니는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를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건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곤충을 연구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하루살이 권위자 조지 에드먼즈 박사의
조수
노릇을 하게 된 것이었죠. 하지만 에드먼즈 박사와 일주일 동안 전국의 개울을 돌아다니던 학생 최재천은 에드먼즈 박사의 모습을 도대체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정말 하찮아 보이는 하루살이를 몇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주로 연근해 어장에서 이뤄지던 시절, 어찌 보면 원시적이랄 수 있는 이 어살이야말로
조수
간만을 따라 회유해 들어오는 고기떼를 한번에 다량 포획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였다. 그러기에 “좋은 목에 있는 어살은 못자리하고도 안 바꾼다”는 옛말도 생긴 것이리라.변산반도 앞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