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지역에 따라, 한 지역 안에서도 시기에 따라 변해왔음을 보여준다.특히 현대 한국인 유전자 풀(생물 종이나 개체 속에 있는 고유의 대립형질의 총량)의 형성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는 요하 일대에서는 농경 의존도가 증가하는 시기에는 남방계 혈통의 비율이 증가했고, 목축 의존도가 ... ...
- [한페이지 뉴스] 눈물샘 오가노이드에서 눈물이 흐른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발현되지 않았다. 눈물샘이 분화하고 기능을 유지하는 데 Pax6 유전자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인간의 줄기세포로 만든 눈물샘 오가노이드를 쥐의 눈물샘에 이식했을 때에도 오가노이드 안에서 눈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발견됐다. 이식한 눈물샘 오가노이드는 ... ...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인공지능(AI) 기술입니다. 임상시험에서 원인을 모른 채 발달장애 증세를 보이던 아이의 유전자를 닥터앤서로 분석한 결과 ‘선천성 근무력증’ 때문이었음을 밝혀내기도 했죠. 이후 적합한 치료약을 처방해 한 달 만에 아이의 상태가 크게 나아졌습니다. 닥터앤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 ...
- [한페이지 뉴스]박쥐 수명과 나이의 비밀 후성유전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DNA 메틸화는 DNA에 메틸 작용기(-CH3)가 결합하는 현상으로,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유전자 기능의 변화를 일으키는 후성유전의 대표적 메커니즘이다. 분석 결과, 박쥐의 수명은 DNA 메틸화 패턴의 변화율에 따라 달라졌다. 가령 메틸화 패턴의 평균 변화율이 작은 작은갈색박쥐(Myotis lucifugus)는 ... ...
- [기획] 언니 개미는 동생들밖에 몰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한다는 겁니다. 즉 B>라면 개체는 C라는 손해를 보겠지만, 친족을 도울 때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전할 가능성이 커서 이타적 행동을 합니다.이를 통해 이타적 행동을 결정하는 조건은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이타적 행동이 주는 이득과 손실을 따져보는 ‘생태적 요인’도 무척 중요함을 알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어떻게든 보려고 하는 일이잖아요. 세포 단위로, 염색체 단위로, 유전자 단위로, 염기서열 단위로 쪼개서 연구하다 보니 큰 시야로 보는 분들이 부러워요. 천체나 우주를 연구하는 분들이 대단하다 싶고 저도 한번 해보고 싶어요. 과동 : 앞서 발사체를 연구하시는 분은 ...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같다고 생각해왔어요. 그런데 지난 1월 7일 아이슬란드의 유전자 분석 기업 ‘디코드 제네틱스’에서 일란성 쌍둥이 387쌍과 가족의 DNA를 분석한 결과, 일란성 쌍둥이의 DNA가 완벽히 같지 않았다고 발표했어요. 일란성 쌍둥이의 약 15%는 최대 100개의 유전적 차이를 ... ...
- [한페이지 뉴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네안데르탈인의 뇌는 어떤 모습일까. 두개골 화석으로는 추측할 수 없는 고대 인류의 뇌를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로 연구할 수 있는 길 ...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현생인류가 고대 인류와 차이를 보이는) 나머지 60개 유전자를 바꿨을 때의 변화를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전자 조작 소에서 채취한 항체로 만든 치료제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유전자 조작 소에서 유래된 항체 치료제가 사람의 피에서 유래된 항체 치료제보다 항체의 농도가 4배 더 높았어요. 항체의 농도가 높을수록 치료가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고 만들 수 있는 백신의 수도 많아져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전자와 염기서열이 비슷하지만 단백질을 만드는 기능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위유전자(pseudogene)’ 일부가 실제로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힌 게 대표적이다. doi: 10.1038/nature13302 김 교수는 “유전체 지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인간의 모든 정보를 알아냈다고 생각했지만, 단백질을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