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종자
자손
뿌리
근본
혈통
정자
d라이브러리
"
씨앗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로 팀명을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
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사진도 찍었지요. 이 과정에서 각 식물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배울 수 있었어요. 또 토끼풀로 예쁜 장식품을 만들고,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진행된다. 가령 인도네시아 대회에서는 현지에서만 나는 과일을 나눠주고 씨방과
씨앗
등의 구조를 분석하게 한 뒤 과일을 액체에 넣어 부력을 측정해 보게 하는 문제가 나왔다. 황 교수는 “학생들은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 가지 소재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통해 조화롭게 살아가고 있지요.“만약 개미가 없었더라면 애기똥풀이나 제비꽃 등의
씨앗
이 번식하기 힘들었을 거예요. 개미는 꽃으로부터 맛있는 수액을 얻고, 꽃은 개미를 통해 번식하는 공생을 한답니다.”이어서 명예기자들은 개미 채집에 나서기로 했어요. 하지만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 탓에 ... ...
[과학뉴스] 목성 표면을 ‘둥둥’ 신개념 탐사선 아이디어 발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는 민들레
씨앗
처럼 바람을 타고 하늘을 떠다닐 수 있는 목성 탐사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7월 22일 발표했다. 기체로만 가득 차 있는 목성을 탐사하기 위해선 공중에 장기간 떠 있을 수 있는 탐사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온·고압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는 목성 표면에서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타닌 결정이 발견됐다. 하지 피루즈에서는 야생 포도가 아닌 재배를 위해 개량된 포도
씨앗
도 발견됐다. 이 지역에서 포도 외에 타닌을 만드는 다른 과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신석기인들이 의도적으로 포도를 재배했고 와인을 만들었다는 강력한 증거다. 이렇게 중동에서 시작된 와인 기술은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있으니 반드시 어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꽃이 핀 뒤에는 제거를 하지 않는다. 이미
씨앗
을 만들었기 때문에 시기가 늦었을 뿐만 아니라 제거하는 과정에서 씨가 사람에 묻어 다른 지역에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블로그(ksdsuper.blog.me)와 홈페이지에서 생태계교란야생식물 11종을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것을 활용하는 데 집중했다. 예를 들어 난초는 정상적인 생식을 통해서는 일 년에
씨앗
하나 얻기 힘들다. 그러나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해 대량으로 난초를 배양하면 잎 하나로 몇 달 사이에 수백 개의 새끼 난을 만들 수 있다. 전형성능은 식물 유전자 변형과 조직배양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여기 평범한 안테나 속에서 열정과 끈기로 새로운 학문의
씨앗
을 발견한 사람이 있다. 칼 구스 잰스키가 통신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대학을 막 졸업할 무렵의 일이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대 학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발전가능성이 큰 통신 분야를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배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놀랍게도
씨앗
사이에는 틈이 생기고, 해바라기
씨앗
이 가진 특유의 나선무늬도 사라졌다. 가장 효율적인 생존을 위해서 수학적인 규칙을 따르도록 생명체가 스스로 진화했다는 사실이 놀랍다. 생물학과 수학의 만남~이언 스튜어트는 생물을 수학적으로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식물이 열매에 매운 캡사이신을 넣은 것은
씨앗
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고추 안에
씨앗
이 달린 태좌라는 부분이 가장 맵다. 만일 고추가 작게 자란다면 그만큼 캡사이신이 농축된다. 속담처럼 작은 고추가 매운 것이다. 지나치게 매운 음식을 먹으면 몸에 좋지 않지만 적당히 먹으면 항암이나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