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 방울만 있으면 물 속도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합니다. 평소에는 이렇게 물 밖에서 생활하지만 가끔 물 속으로 들어가 생활하는
습성
이 있지요. 바로 이 때 저만의 독특한 수영 비법이 발휘된답니다만화에서처럼 무슨 공기방울이라도 타고 물 속으로 들어가는 건 아닐 텐데, 어떻게 숨을 쉬는 거죠?빙고! 바로 맞히셨습니다. 놀라지 마세요. 전 물 ... ...
진화를 배우자! 다윈을 만나자! 탄생 200주년 다윈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동식물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모든 생물은 천 년 만 년 똑같은 모습일까요? 생활
습성
에 따라 주변 환경에 적응할 수는 없는 걸까요? 이런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범선을 타고 멀리 남미 갈라파고스 섬까지 여행한 과학자가 있었어요. 바로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 ‘진화론’으로 유명한 이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 때가 막 새끼가 태어나 자라는 시기란다. 산과 들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
습성
이 있어 들판을 가로지른 길을 건너지 않을 수 없어. 아직 작고 걸음도 잘 못 걷는 어린 친구들이 무서운 차도를 뒤뚱뒤뚱 걷는 장면을 생각하니 너무 아찔해!따듯한 곳이 좋아 유혈목이파충류 친구들 중에서는 ... ...
[생태]곤충이 물속에서 숨 쉬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는 물벌레의 일종으로 평소에는 물 밖에서 생활하지만 가끔 물속으로 들어가 생활하는
습성
이 있다. 플린 교수는 송장헤엄치개가 어떻게 물속에서 숨을 쉬는지 관찰한 결과 송장헤엄치개가 몸을 공기방울로 감싼 뒤 그 안에서 숨을 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송장헤엄치개가 어떻게 공기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전 쯤이라네요. 그런데 있잖아요, 아무 들짐승이나 다 가축이 될 수 있는 건 아니라네요.
습성
이나 성격이 맞아야하는데 무슨 말이냐면 무리지어 사는 걸 좋아하고 온순해야 한다는 거죠. 저희 소가 딱 그랬다는군요.거 왜 ‘동물의 세계’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아프리카에 사는 물소가 나오잖아요?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잡아먹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도심에서 제비를 볼 수 없는 것도 이런 먹이포획
습성
때문이다. 제비가 맘껏 날 수 있는 공터가 점점 줄어드는데다 물웅덩이나 수풀 같은 날벌레 서식처가 거의 사라져 결국 제비가 떠나게 된 것.반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인 참새는 도심에서도 ... ...
흙에서 깨어나는 매직피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것 말고는 딱히 손이 가는 일이 없다.매직피쉬는 열대어 ‘노소브란치우스’의 생태
습성
을 이용한 아이디어 제품이다. 조그마한 어항이나 유리컵에 ‘양식토’라는 흙을 넣고 물을 부어주면, 약 한 시간 뒤 올챙이처럼 생긴 아기열대어들이 하나씩 태어난다.물은 수돗물보다 생수가 좋고, 수온은 2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설명했다. 반면 MGB는 형광처리를 하지 않은 무형광지다. 이 때문에 무엇이든 물고 빠는
습성
이 있는 유아용 책에도 MGB가 적격이다. 최 파트장은 “MGB는 교촌치킨, 베스킨라빈스 같은 음식용 포장지로 사용된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수요가 늘 것”으로 기대했다. 종이 닮은 디스플레이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컸다. 프랑스의 과학자인 파브르는 예리한 눈으로 살아있는 곤충을 관찰하며 본능과
습성
을 연구했다. 그 결과를 오롯이 담은 파브르 곤충기는 한 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곤충학의 성경’으로 사랑받고 있다.그러나 누구나 한 번쯤 읽어봤을 테지만 어느 누구도 제대로 읽지 못한 책이 바로 파브르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말고 인내를 갖고 다양한 시도를 해봐야죠.”예를 들어 생쥐는 서로 수염을 다듬어주는
습성
이 있다. 사람처럼 면도기를 쓸 수도 없고 이빨로 자기 수염을 자를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PLCβ1이라는 유전자가 없는 생쥐들끼리 모아두면 수염이 덥수룩하다. 상대방의 수염을 다듬을 생각을 않기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