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평"(으)로 총 8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물리친 3D 스노우어드벤처 눈의 여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미끄럼 반사’를 대표(그림 )한단다. 미끄럼 반사란 어떤 물체를 거울면에 비춘 다음, 수평으로 일정하게 거리를 이동시켜 대칭을 만드는 것을 말하지.이런 발자국의 두 가지 성질을 이용하면, 다시 출발했던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 거야. 시작점에서 커다란 사슴 발자국을 찾으렴. 그 발자국을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여기 구면인 입체 도형이 있습니다. 이제 구면을 수평면으로 잘라 봅시다(그림①). 수평으로 나눠진 원둘레가 보이죠? 여기서 원둘레 위에 있는 점들의 접선이 바로 벡터예요. 그림 속 화살표 말이에요.벡터장은 원둘레의 궤도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림①의 벡터장은 원둘레를 뱅글뱅글 돌아 원래의 ...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다르다. 날개를 상하로 움직일 때는 수평 비행을, 동체를 지면과 수직으로 세우고 날개를 수평으로 8자 궤적을 그리며 움직일 때는 공중에서 정지해 정점 비행을 하는 모습이 마치 새 날개를 연상케 한다.초소형 플래핑 무인기는 고정익 비행체가 따라 하기 힘든 저속 비행과 장애물 회피에 탁월하다. ...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박테리아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질을 바꿔나갈 수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동물이나 식물이 생식을 통해 부모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다음 세대에 형질을 유전시키는 방법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유전자 변이 속도와 조합 경우의 수가 다양하다. 어떤 변종이 ...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다르다. 날개나 동체에 있는 조종면을 움직이는 방식이다.틸트로터에서 날개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순간이동하지 않는다. 문제는 날개의 방향이 바뀔 때 중간 과정에서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라는 점이다.구삼옥 항우연 무인기체계실장은 “중간 과정에서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 헬리콥터의 조종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현대화되면서 고층 건물이 많아졌고 대형화, 복합화, 미로화됐다. 옆 건물로 불이 번지는 수평화재와 달리 수직화재가 늘어나고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그래서 소방방재 공학이 생겨났다. 건축물을 지을 때 소방방재학적으로 ‘수동적(패시브)’ 화재 보호 방식과 ‘능동적(액티브)’ 방식이 있다. ...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있는 힘인 양력이 증가하거든요. 그리고 몸을 S자로 만들어 좌우로 움직이면 몸과 땅이 수평을 이뤄서 공중에서 오래 버틸 수 있지요. 이렇게 해서 100m나 날 수 있답니다.마지막 주인공은 하늘을 나는 황금나무뱀이었군요! 이렇게 런닝뱀의 미션을 모두 완수했어요. 같은 뱀인 저도 잘 몰랐던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약 1m 안팎으로 만들어진다.)❸ 빵의 크기❹ 초기 위치에서 떨어지는 각도(빵이 바닥과 수평으로 고스란히 떨어지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채로 떨어지며, 반드시 회전하게 된다.)여기서 중력과 식탁의 평균 높이는 떨어지는 시간을 결정하고, 토스트의 크기와 초기 위치에서 ...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줄곧 매우 밝은 밝기를 유지했다. 특히 단독 비행하는 발광체의 밝기가 유난히 더 밝았고 수평 비행과 상승하는 모습의 속도감과 방향성을 볼 때 일반적인 풍선이나 기구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11월 15일에는 안산시 상공에서 미확인 발광물체 2대를 다수의 목격자들이 촬영했다. 오후 3시 18분경 ...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렇게 높은 고도에, 지구표면과 정확히 수평이 되도록 위성을 올려놓을 이유가 있느냐’는 의문도 나온다. 이런 원 궤도는 ICBM 개념에서 보면 ‘사거리 무제한’인 상태와 가깝다. 이 궤도에서 위성을 분리할 때, 위성이 튀어나가는 각도만 20°가량 높여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