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불이익
침해
위험
가해
희생
분실
d라이브러리
"
손실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는 힘이 발생한다. 대신 위로 올릴 때는 날개를 자연스럽게 움츠려 빠르게 올린다.
손실
되는 추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풍뎅이는 근육이 없어 새와는 달랐다. 날개를 내렸다 올리는 동작에서 날개를 한번 비튼다. 공기와 날개가 맞닿는 각도가 비행에 필요한 양력과 추력을 유지할 수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거시적 설계 구조로는 입자의 생성과 이동, 수집이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전자
손실
도 많을 수밖에 없다. 최 교수가 이끄는 연구단은 나노 기술을 이용해 에너지 생성 효율을 기존 대비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는 전기에너지 1W 생성 비용을 0.5달러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다.하지만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타이타닉이 남긴 유산타이타닉의 침몰은 전 세계에 충격을 가져왔다. 엄청난 인명
손실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지 못했던 안전 규정도 주목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바다에서 사고가 났을 때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1914년 해상인명안전협약이 체결됐다. 이 협약은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생산한 전기를 바로 가정에서 쓸 수 있게 교류형식으로 전달하지만 거리가 멀 경우에는
손실
을 줄이기 위해 직류로 바꿔 전송한다”고 말했다.복합형 해상 풍력발전단지로우리나라는 뛰어난 조선업, 터빈 개발 기술을 앞세워 해상풍력 선진국을 바짝 뒤쫓고 있다. 최근 제주도는 해상풍력 단지에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기를 만들어 물을 데우는 것보다는 태양열 에너지로 물을 직접 데우는 것이 에너지
손실
이 적겠지요?" 곽희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해 바닷물을 담수로태양열 에너지로 물을 데워 증기를 만드는 방법을 이용해 태양열 에너지로 바닷물을 담수로 만들 수 있다.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갖춘 고가의 전투기들. 따라서 전투시에 적지에 침투해 효과적으로 공격하되 전투기의
손실
은 줄여야 합니다. 이 때문에 상대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술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록히드 항공사가 맡은 스컹크 웍스 프로젝트는 전설적인 첩보 비행기 개발로 신비의 대상이었죠. 음속의 3배가 ... ...
수송용 무인 헬기, 아프가니스탄에서 첫 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미국의 전쟁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개발된 무인 헬기 '카만 K-MAX'가 아프가니스탄에 실전 배치됐다. 원격제어가 가능해 임무 중 파일럿
손실
위험 없이 물자를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적군의 빈번한 공격 목표였던 수송차량을 대신해 전장에 투입될 계획이다.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분야에서도 현란한 논리 전개와 4000원논박을 펼쳤다. 스티븐 호킹과는 블랙홀의 정보
손실
문제로, 리 스몰린과는 양자 중력의 방법론과 다중우주론으로 대결했다. 이 책에서도 양쪽의 논지를 읽을 수 있다. 마침 스몰린의 책을 번역했고 서스킨드의 끈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김낙우 경희대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 인듐 등수명: 약 25000~50000시간가격: 백열전구보다 15~20배 비쌈효율: 효율은 높으나 열
손실
많음눈부심: 눈부심이 심한 편 빛, 도시를 디자인하다!발명한 지 20년도 안 된 조명이 133년 전통을 가진 백열전구보다 인기가 많다니…. 어? 저건 뭐지? 건물 전체가 그림처럼 움직이잖아. 자세히 보니까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었다. 체감온도는 바람이 강해질수록 계속 낮아진다. 강한 바람이 피부의 열
손실
량을 높여 체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하 10℃일 때 풍속이 5km/h이면 체감온도는 영하 13℃이지만, 풍속이 30km/h가 되면 체감온도는 영하 20℃까지 떨어진다.감기 걸릴 가능성을 알려주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