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단백질이 아닌 전령 RNA(mRNA)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팀은 세포 ... 세포 주기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은 ‘몰레큘러 셀’ 온라인판 5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는 동물들이 낳는 알의 수가 보통 6개다. 바위왕도마뱀은 6보다 더 많은 수를 굳이 셀 필요가 없는 것이다.친구 따라 학습한다파충류는 학습도 잘한다. 2014년 헝가리 외트뵈시로란드대의 안나 키스 박사팀은 세 살짜리 턱수염도마뱀에게 재미있는 재주를 하나 가르쳤다. 바로 여닫이문을 여는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집은 좀 더 심도 깊은 수사를 진행해야 한다. 문제는 아동학대 신고 전화를 누적해서 셀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점이다. 특정 횟수 이상 같은 신고가 들어오면 이에 대한 경고를 할 수 있는 ‘누적 데이터 알람 시스템’ 구축이 꼭 필요하다. 신고가 일회성으로 끝나면 막을 수 있는 학대도 막을 수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러시아의 수학자 파프노티 체비쇼프는 1853년 1과 n 사이의 소수를 셀 때, 4k+3꼴의 소수가 4k+1꼴의 소수보다 더 많다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일반화된 리만 가설 등 몇몇 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하면 1부터 n까지 3k+2꼴의 소수가 3k+1꼴의 소수보다 많을 확률이 99.9% 이상이라는 마이클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아인슈타인은 또 이것을 이용해 부피를 알고 있는 기체와 액체 속에 들어 있는 분자 수를 셀 수 있게 됐다.최근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은 라이다★를 이용해 대기에 떠다니는 꽃가루를 시간대와 대기 높이, 계절별로 관찰한 결과, 꽃가루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는 수학모형을 세계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오차가 줄었을 겁니다. 걸음 수를 재는 만보기를 들고 걷는다면 걸음 수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으니 더 정확하게 거리를 잴 수 있을 겁니다. ‘거리’는 ‘속력’ 곱하기 ‘시간’이니까!제주중앙중학교 2학년 수학반 학생들은 2015 제주수학축전 Math Tour에서 선보일 ‘보폭을 이용한 거리재기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처음부터 추상화를 잘 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도 어렸을 때는 보고, 느끼고, 만지며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여기에서 얻은 원리로 인간 지능의 정수라는 추상화를 해낸다. 아직까지는 단순한 개념을 받아들이는 기계에 불과하지만, 이런 기본적인 개념을 쌓고 쌓는다면 언젠가는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 태어난 나는, 과거 어린 시절의 추억을 기억하고 현재를 살고 있으며, 머리가 하얗게 셀 미래가 오리라는 걸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의 직관대로라면 시간은, 순탄히 흐르는 강물처럼 보인다. 그런데 현대 물리학자들이 최근 들려준 이야기는 좀 다르다. 그들은 시간이 ‘없다’고 말한다. 도대체 ... ...
- [News & Issue] 과학동아 창간 30주년,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잡지 증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난 30년간 필자로 참여한 과학자만 3000여 명에 달하고 취재에 응해 준 과학자는 셀 수 없이 많다”며 “지금의 과학동아가 있기까지 이분들의 공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은 “국내 과학기술을 알리고 과학문화를 확산하는 데 앞장서 온 과학동아에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상수 e(≒2.718)인 로그함수가 된다. 즉 1부터 N까지 범위에서 소수는 대략 lnN개의 수를 셀 때마다 하나씩 등장한다. 이것이 바로 소수 추측이다.소수 등장 = 동전 던지기?시간이 흘러 노년이 된 가우스는 오차가 훨씬 적은 소수 예측식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때 떠오른 아이디어가 동전 던지기다.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