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2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실험에 몰두하기 위해, 자신만의 학습 일정을 주체적으로 운영한 거죠. 이 학생은 지금 서울대 기계공학과에 재학 중입니다. 한 학생만 말씀드렸지만 이렇게 우수한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입학하고 또 이들의 대부분이 학교의 설립 취지에 맞게 이공계열로 진학하고 있다는 점이 과학영재학교의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학생들이 졸업 이후 금융이나 다른 IT 분야로 진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방학 동안에는 서울 캠퍼스에 가서 경영학 수업과 같은, 평소 듣지 않는 수업을 듣기를 적극 권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서는 복수 전공이나 부전공을 통해 반도체 이외의 공부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 ...
- [인생] 행복한 삶이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학년 학생은 ‘허준이 교수님이 즐겨듣는 노래는 무엇인가요?’라고 묻고, 김민재 서울과고 1학년 학생은 ‘유튜브도 시청하시나요?’라고 묻는 등 허준이 교수님이 좋아하는 음악이나 즐겨보는 영상을 궁금해하는 친구도 있었는데요. 특별히 이곳에서만 알려드릴게요! 음악 플레이리스트녹턴 / ... ...
- 허준이 교수의 영재 상담소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다행히 과학고에 떨어져서 고등학생 때는 그런 마음을 느낄 만한 기회가 많지 않았어요. 서울대학교에 입학해서 뛰어난 친구들을 보면 ‘저 친구는 참 똑똑하다’고 생각하고 넘어가려고 노력했는데 항상 잘 되는 건 아니었지요. 제가 미국의 유명한 대학원들을 지원했는데 다 떨어지고 한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성차의학 강의를 개설했다. 김 교수는 2018년 성차의학 수업 첫 해, 수업을 들었던 서울의대 학생 중 하나가 “연구가 이거밖에 안 됐냐?”고 실망스럽게 되묻던 것을 유쾌하게 기억했다. “성차의학은 설명이 되는 연구예요.” 김 교수는 성차의학이 ‘맞춤의학’으로 가는 길에 있다고 설명한다. ...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연구자로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과학기술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과기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펜하이머 평전인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번역했으며 저서로는 ‘그것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순간’이 있다 ... ...
- 따오기, 판다, 기린… 동물 외교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사용해왔다. 이른바 ‘동물 외교’인 것이다. 6월 30일 서울대 16동에서 만난 조동준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동물 외교는 미래를 내다보고 한 나라의 호감을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외교를 ‘좁은 외교’와 ‘넓은 외교’로 나눠 설명했다. 좁은 외교는 쉽게 말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용 시간을 정하고 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필자소개박유신(서울 석관초 교사). 서울 석관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애니메이션과 미디어,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전국 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 회장입니다. 다음 Mission : 여러분이 보고 싶은 콘텐 츠들을 ... ...
- [숫자뉴스] 사우디아라비아에 황금 정육면체가 생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사우디아라비아가 수도*인 리야드에 거대한 정육면체 모양의 건축물 ‘무카브(The Mukaab)’를 2030년까지 짓겠다고 발표했어요. ‘무카브’는 아랍어로 ‘새로운 정육면체’라 ... 필요하기 때문이지요. *수도 :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도시를 말해요. 우리나라의 수도는 서울이에요 ... ...
- [포토뉴스] 집안일은 내가 최고! 한국팀 ‘로보컵 2023’ 2개 부문 우승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모든 대회가 모여 있는 로봇계의 ‘올림픽’이라 할 만하다. 타이디보이 팀은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과 이승준 부산대 전기공학과 교수팀이 연합한 팀으로, 연구원 19명으로 이뤄졌다. 타이디보이 팀은 홈서비스 부문의 ‘도메스틱 플랫폼 리그’와 ‘오픈 플랫폼 리그’에 출전해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