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산과의"(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베고,심고,가꾸고! 만들어요! 건강한 숲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어서 오세요! ‘만들어요! 건강한 숲’ 게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 게임은 건강한 숲을 만들고 관리하는 숲 경영 게임입니다. 나무들을 잘 선택해 건강한 숲을 구성하는 것이 숲 경영의 관건! 그런데 어떻게 하면 건강한 숲을 만들 수 있을까요? 이어지는 가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베고, ... ...
- [특집] 숲이 나이 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오늘 경영할 숲은 우리나라 산림입니다. 우리나라는 전체 토지 면적의 63%가 산림으로 구성된 산림국이에요. OECD 국가 중 네 번째로 산림의 비중이 크지요. 그만큼 숲 경영이 아주 중요하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고요?! 우리나라 숲 평균 나이는 40세!숲은 물질적, 환경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요. 나 ... ...
- [특집] 숲을 위해 나무를 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이곳은 산림청이 충남 부여국유림에서 친환경 벌채한 현장입니다. 왜 이런 모양이 됐을까요? 문제점은 없을까요? 동물들이 숨을 곳을 남겨라!‘벌채’는 나무를 베어내는 걸 말해요. 목재로 활용하기로 구분한 산림 지역에 고령화된 나무를 베어내고, 해당 지역에 어린 나무를 심는 거지요. 우 ... ...
-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하와이에 놀러 왔어! 일단 배가 고파서 괜찮은 식당을 찾는 중인데, 하와이에는 무지개 맛집이 많다고 하는 거야! 뭐야, 식당 이름이 아니고 진짜 무지개란 말이야? 그런데 어떻게 이렇게 무지개가 많이 생기는 거야? 자기소개를 부탁해.알로하! 난 하와이섬이야. 미국의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한반도의 정중앙, 강원도 양구군을 들어본 적 있나요? 이곳은 대부분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이지만, 유독 한 지역은 마치 크레이터처럼 가운데가 푹 꺼진 지형을 가지고 있어요. 한국을 찾았다 이 모습을 본 미국 기자는 파티용 음료인 ‘펀치’를 담는 그릇을 닮았다고 ‘펀치볼’이라는 ... ...
- [핫이슈] 얼음과 불의 노래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화산을 품은 빙하의 땅인 아이슬란드는 북유럽에 있는 섬나라예요. 대서양의 중앙 해령 위에 있어 활화산과 휴화산이 많지요. 북극권과 가깝고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이라 꽁꽁 언 빙하와 폭발하는 땅이 대비돼 독특한 환경이 형성돼요. 지난 3월 화산과 얼음이 만든 풍경을 함께 감상하세요! 800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1년 전인 2010년 7월호에 4대강 사업의 현황을 짚고 논쟁점을 지적하는 르포 기사를 썼습니다(‘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4~6월까지 경기 여주, 충남 공주, 세종특별자치시, 경북 상주·예천을 돌며 강을 찾았습니다. 강물을 막은 채 건설 중이던 보는 상상 이상으로 컸고, 물길마저 마음먹은 대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든 생명체는 24시간의 생체리듬을 갖고 있습니다. 계절과 온도에 따라 이 주기가 변동될 것 같지만 생체리듬은 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생명체가 생체리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메커니즘은 60년이 넘도록 풀리지 않는 생명과학 분야의 난제였습니다. 지난 2015년, 한 수학자가 수학 모델을 토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과거 중국의 한, 위나라에서는 한강을 ‘대수(帶·띠 대)’라 불렀다. 한강의 모습이 한반도의 허리에 띠를 두른 것처럼 보이는 데에서 나온 표현이다. 고구려 광개토대왕비에는 크고 넓은 물이란 뜻의 ‘아리수’로 적혀 있다. 지금 쓰이는 한강이란 이름은 우리말 ‘한가람’에서 비롯된 말로 ‘ ... ...
- [DGIST@융복합 파트너]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은 지난 30여 년간 꾸준히 높아져 에너지저장 밀도에 있어서는 이론적 한계에 거의 도달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이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배터리와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홍승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가 뛰어난 성능을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