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물
비물질적
질적
우수
천수
d라이브러리
"
빗물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특수한 형태가 이용되기도 했다.지붕은 바닥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 지붕의 주역할은
빗물
을 건물바깥으로 흘려보내는 일이므로 경사를 가져야 한다. 바닥이 원형이거나 정사각형일 경우에는 각 변에 경사판을 설치해 자연스럽게 한가운데서 그 끝을 모아 모지붕을 만든다. 하지만 바닥이 길쭉한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물의 최대량의 비율이다. 사용가능한 최대량은 자연에 순수하게 유입되는 물의 양으로
빗물
의 총량에서 증발한 양을 빼면 된다. 우리나라의 사용가능한 최대량은 1년에 7백31억m3 정도로, 이 중 2백60억m3을 취수해 사용하고 있으므로 물 스트레스 지표는 35.6%다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강변에 조성해 하천의 흐름을 늦추고 있다. 하천의 흐름을 늦추면 한꺼번에 흘러가는
빗물
이 줄어들고, 자연정화가 일어날 시간을 벌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연형 하천 기술은 하천 수량을 늘리고, 수질을 개선하며, 생태계가 복원된다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바람 불어넣는 댐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짧고 경사가 급한 곳이 많아서 대부분의
빗물
은 하천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버린다.
빗물
을 저장하고 이용하기에 매우 불리한 여건이다.그래서 지금까지 물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다. 그런데 댐을 계속해서 개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 이미 건설돼 있는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확보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수자원을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인공강우, 지하수 이용,
빗물
의 활용 등 여러 기술이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최근 주목받는 기술이 사용한 물을 깨끗이 만들어 다시 사용하는 ‘물 재이용기술’이다. 하수에 생명을 불어넣어 인간이 사용할 물을 만드는 첨단 기술을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슬이나
빗물
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당장은 나뭇잎이나 바위의 패인 곳에 고인
빗물
을 마시며 다음에 찾아올 단비를 대비해 물을 담을 그릇을 많이 준비해야 할 것이다. 캐스트 어웨이의 척 놀랜드는 코코넛 껍질을 물병으로 이용했지만, 코코넛이 없는 경우 대나무를 이용하거나 적당한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또한 19세기 이후에 보이는 경사지붕은 구조적으로 절실했다기보다는 다른 이유, 즉
빗물
구배(경사)나 장식적 목적 때문에 취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경사지붕에 비해 평지붕은 여러모로 장점을 가진다. 우선 같은 바닥 면적이라면 평지붕의 내부 부피는 경사지붕의 그것보다 적게 된다.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나무는 다양한 기생식물과 착생식물(다른 식물의 몸통에 붙어 나무로부터 떨어지는
빗물
과 양분을 먹고사는 식물)의 정원이 된다. 심하게 말해 야자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나무들이 기생식물에게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야자수에 기생식물이나 착생식물이 전혀 붙지 않는 것은 ... ...
5인의 과학자 무인도 서바이벌 실험노트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지냈다고 한다. 그런데 제물로 바친 동물의 기름이나 제사에 쓰인 유지로 만든 촛농이
빗물
에 쓸려 내려가면서 나뭇재와 섞이게 돼 비누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강으로 흘러온 비누를 사용하게 된 사람들 이 사포산에서 온 것이라 해서‘soap’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것. 그러나 비누는 고대 로마의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그래서 지금은 오히려 물이 풍부해 다른 지역으로 팔 정도다. 어떻게 가능한 일일까.먼저
빗물
이 지하로 스며드는 이유를 알아보자. 구멍 뚫린 현무암이 제주 전체를 덮고 있기 때문일까. 아니다. 현무암이 구멍 뚫렸다고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현무암의 구멍이 서로 연결돼 있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