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피"(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내연기관 자동차는 현재 상용화 직전 단계다. 특히 연료전지 분야의 경우 가볍지만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수소를 경제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을 먼저 개발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수소를 에너지로 쓰는 기술 중 백미는 단연 핵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핵융합은 고온에서 가벼운 원자핵끼리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전문가들이 쓰는 라돈 계측기는 실시간 측정은 가능했지만, 1000만 원이 넘는 고가에 부피가 컸다.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검출기는 저가인 대신 감도가 낮아 한번 측정하는 데 최대 48시간이 걸렸다. 고 대표는 “하루 이틀 뒤에야 경고가 울리는 검출기를 살 사람이 어디 있겠냐”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물로 변하지요. 그런데 물은 수증기에 비해 부피가 1/1000 정도밖에 되지 않아요. 이렇게 부피가 갑자기 작아지면 깡통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지요. 그 결과, 상대적으로 압력이 큰 외부 공기가 깡통을 찌그러뜨리는 거랍니다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위상속도 cAMM 역시 전자기파의 위상속도와 유사한 식 c2AMM=B/ρ로 표현된다. 이때 B는 부피탄성계수, 그리고 ρ는 밀도를 의미한다. 음파의 굴절률(n)은 전자기파와 동일하게 n=cref/cAMM으로 나타낸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음향 메타물질을 연구했다. 그중에는 음향 양자결정(phononic crystal) 메타물질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것을 막기 위해 단열재로 쓰는 질석이 핫팩에도 들어 있지요. 질석은 따뜻한 곳에서 부피가 커져 열을 오랫동안 품는 성질이 있어요. 이런 원리로 핫팩의 따뜻함이 유지되도록 돕지요. 또 열에너지가 핫팩 내부에 골고루 퍼져서 어느 한 부분이 지나치게 뜨거워지지 않도록 하는 데도 도움을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주장을 펼쳤다.연구팀은 또한 백악기에서 고제3기로 넘어가는 시기 이후에 전체 부피 추정치의 절반이 넘는 용암이 분출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소행성 충돌이 데칸 화산활동을 더 촉진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당시의 기온 자료와 비교해 데칸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빛을 통해 얻은 소행성의 크기 정보로 부피를 계산한다. 또 부피에 평균밀도를 곱해 질량을 얻는다. 질량을 알면 뉴턴의 운동법칙에 따라 탐사선이 소행성에 접근할 때 받게 될 중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소행성 궤도에 진입하고 또 지구에 귀환하기 위해 소행성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못한 블랙홀의 미스터리도 있다. 그중 하나는, 열역학에서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부피에 비례하지만 블랙홀의 엔트로피는 블랙홀의 겉넓이에 비례한다는 사실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네덜란드 물리학자인 헤라르트 엇호프트는 양자중력의 영역에서는 모든 정보가 시공간의 경계면에 저장된다는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구의 약 11배, 질량은 지구의 약 317배, 부피는 지구의 약 1300배인 태양계의 거인 행성 목성. 목성이 신들의 왕 제우스의 상징이 된 건 썩 잘 어울리는 일이다. 신화 속 제우스는 어떠한가. 구름 속에 몸을 감추며 자신의 아내 헤라의 시선을 피해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는 바람둥이지 않았나. 그래서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기술로는 불가능하다. 아직은 대장이나 심장세포, 뇌 등 생체기관을 수 mm3에서 수 cm3 부피의 3차원 조직으로 배양하는 데 성공한 수준이다. 실제 기관처럼 크게 배양하지 못하며, 조직 사이에 연결된 혈관들을 완벽히 재현하지도 못하고 있다. 김정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