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제"(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구해보자. 형의 몸 속에 있는 어느 대립유전자가 배다른 동생의 몸 안에 자신의 ‘진짜 복제본’이 들어 있을 가능성을 살핀다. 가능성은 딱 하나다. 이 대립유전자가 형의 친엄마가 아닌 아빠로부터 왔고, 또 아빠가 50%의 확률로 이 대립 유전자를 동생에게 줬어야 한다. 즉, 배다른 형제간의 r은 (0.5 ... ...
- [과학뉴스] 모기에 놀란 백혈구가 바이러스 키운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연구팀은 염증반응으로 모인 백혈구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바이러스 유전자를 복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염증반응이 없는 부위에서는 바이러스 증식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맥킴미 교수는 “모기에 물렸을 때 염증반응을 억제해 백혈구 수를 조절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도 낮출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도와줘서 남기게 되는 유전자의 복제본 개수(rb)가 행위자에게 해를 끼쳐서 줄어드는 복제본 개수(c)보다 많아야 이타적 행동은 선택된다. 두 개체 사이의 근연도(r)가 높을수록, 그리고 이타적 행동이 효율적이어서 손실 대비 이득(b/c)이 클수록 이 유전자는 선택되기 쉽다(구체적 사례는 왼쪽 박스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규칙이라는 같은 결과를 낸다. 둘 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드는 유전자가 남기는 복제본의 개수를 정확히 세도록 해준다. 즉,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포괄-적합도(혹은 이웃-조정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다음 화에서 해밀턴의 법칙과 유전적 근연도를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야기가 달랐다.“모두가 센트럴 도그마(DNA가 정보를 저장하고 RNA와 단백질이 전사와 복제, 번역을 한다는 분자생물학의 기본 원리)에 열광하고 있었습니다. 단백질이 어떻게 버려지는가는 관심 밖이었습니다.”그의 말처럼 당시 생명과학의 주류는 DNA의 전사와 번역이었다. 단백질의 분해는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ATP의 2%를 쓰고, 유전자로 단백질을 번역하는 과정에 75%를 쓴다. 유전자가 다섯 배가 되면 복제에는 전체 ATP의 10%, 번역에는 375%가 필요하게 돼 세포가 혼자 만들 수 있는 ATP를 훌쩍 초과한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유전자가 늘어난 만큼 번역을 더 많이 해야 되고, 번역을 할 단백질 공장이 더 많이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알아낸다.지카바이러스에도 X선 결정법이 사용됐다. 숙주세포를 활용해 유전정보를 복제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S1 단백질의 구조가 4월 18일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온라인판’에 발표됐다(doi:10.1038/nsmb.3213). 지카와 같은 플라비바이러스에 속하는 뎅기열이나 웨스트나일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A 박사의 새로운 육체로 제공하겠다고 나섰다. B 업체는 C씨의 뇌에 A 박사의 뇌 정보를 복제해 넣었다.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C씨는 A 박사가 받기로 돼 있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겠다고 주장했는데, 노벨 재단이 이를 거부한 것. 이에 C씨는 노벨 재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판결을 열흘 앞둔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초하고 있다. 인간/비인간, 정신/신체, 자연/인공, 유기체(생명)/무기체(비생명), 원본/복제와 같은 견고한 이원적 구분들이 그 뼈대를 이루고 있는데, 그 자체로 이미 많은 가치 판단이 들어 있는 개념들이다. 법, 윤리, 정치, 문화, 예술, 경제와 같은 현실 속 여러 실천적 관행들은 바로 그런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들어 벤조피렌이라는 화학물질은 유전자에 결합해(위 그림), DNA 중합효소에 의한 유전자 복제에 오류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암을 유발한다.미국의 경우 로봇 기술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함께 활용하는 독성연구 중장기 프로젝트 ‘Tox21’을 2008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NIH)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