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별"(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허블 우주망원경 이번에도 부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지금까지 천문학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답니다. 30년 동안 수많은 과학자가 허블을 통해 별과 우주를 연구해왔어요. 따라서 망원경을 수리하고 보수하는 일이 눈에 띄진 않지만, 매우 중요해요. 하지만 허블 우주망원경의 하드웨어를 직접 수리하는 건 불가능하게 된 지금도, 허블 우주망원경은 ... ...
- 과학 동아 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속에서 펼쳐지는 우주와 밤하늘 이야기과학동아천문대장과 함께 최신 우주 소식과 별빛미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요. 알쏭달쏭한 우주 이야기를 더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고 기사를 작성해 보세요.쉽고 재미있게 알아보는 창의 융합 과학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의 최고 스타인 섭섭박사님과 ... ...
- [특집] 눈은 어떤 모습으로 내려갈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20℃에서 영하 10℃ 사이로 비교적 높고 습기가 많은 날에 만들어져요. 함박눈의 결정은 별 모양처럼 가지가 많아요. 촘촘한 가지는 서로 엉겨 붙기 좋지요. 또 수분이 많아서 잘 뭉쳐져요. 눈사람을 만들거나 눈싸움을 하기에 좋은 눈이지요. 포슬포슬 흩날리는 가루눈가루눈은 잘 뭉쳐지지 않는 ... ...
- [특집] 과연?! 장영실의 손이 닿았을까? 물시계와 천체시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함께 발견된 ‘일성정시의’는 천문시계예요. 낮 시간만 잴 수 있는 해시계와 달리, 해와 별의 움직임을 살펴 낮이든 밤이든 시간을 알 수 있어요. 김상혁 연구원은 “세종 시대 만들어진 16가지 천체 관측기구 중 남은 것은 거의 없다”며, “일성정시의는 세종 시대 천문학의 수준을 알 수 있는 ... ...
- [기획] 지구를 잠시 떠나 보세요! 우주에서 지구 감상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좋을 필요가 없다는 점도 성층권 풍선 여행의 특징이에요.성층권 풍선 여행 코스는 별이 떠 있는 밤에 출발해 약 6시간 동안 비행하며, 일출을 보면서 마무리되는 일정으로 진행돼요. 약 10분에 불과한 블루오리진의 로켓 준궤도 여행에 비하면 더 여유를 가지고 ‘관광’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죠.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이 사진을 찍었어요.지난 6월 24일 NASA는 초신성 ‘MSH 15-52’가 폭발할 때 생겨난 별의 잔해가 퍼져나가는 속도를 계산해 발표했어요. 2004년부터 5년간 모은 자료와 2017년 이후 찍은 사진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비교했지요. 그 결과, 성운과 가까운 쪽은 시속 1450km로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평생 잊지 못할 유성우 속 1박 2일. 밤하늘을 수놓은 별들 사이로 무수히 떨어지는 별똥별에 소원을 빌어 보세요! ➋ 4일 간의 차이나는 우주 클라스! 여러분이 우주에 대해 가장 알고 싶은 주제만 모았습니다.➌ 사이언스 플레이 그라운드! 과학동아천문대 대표 창의융합 프로그램으로 매일 다른 ... ...
- [숫자뉴스] 루시 12년 날아 소행성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천체★ 중에서 화성, 목성 같은 행성보다는 크기가 작지만 별똥별보다는 큰 것을 말해요. 우주에는 소행성이 수십만 개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NASA는 지난 10월 16일 소행성 탐사선 루시를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했어요. 루시는 지구에서 약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14~20일 사이 수요일 저녁 7시 30분 ~ 9시 30분참가비 무료참가자 선정 매달 별빛미션 참가자 중 10명 선정※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를 ... ...
- [숫자뉴스] 메뚜기 친구 풀무치 10번째 먹는 곤충 됐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메뚜기, 백강잠, 누에 유충과 번데기가 식용곤충이 됐고, 그다음 갈색 거저리 유충, 쌍별 귀뚜라미,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아메리카 왕거저리 유충, 수벌 번데기 순으로 식용곤충이 됐어요. 풀무치는 10번째로 식용곤충이 됐지요. 농촌진흥청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풀무치는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