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이 변하면 지구도 변한다?! 울퉁불퉁 지형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하천이 구불구불한 형태가 돼요. 이런 형태의 강을 ‘곡류’라고 불러요. 곡류의 바깥쪽은 안쪽보다 물의 흐름이 빨라지기 때문에 점점 많이 깎이면서 하천의 깊이도 깊어져요. 반면 곡류의 안쪽은 물의 흐름이 느려 운반된 물질이 쌓이고, 이 물질들이 다시 물의 흐름을 방해하며 점점 얕아지게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현재 초속 13km로 카이퍼 벨트를 향해 날아가고 있어요. 카이퍼 벨트는 해왕성 궤도 바깥쪽에 있는 얇은 도넛 모양의 영역을 말해요. 1949년 아일랜드의 천문학자 에지워스와 1951년, 미국의 천문학자 제러드 카이퍼가 가설로 예측한 영역으로 이곳에 천체들이 모여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관측 기술의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윽! 웬 똥이야! 밟을 뻔했네~. 똥파리도 잔뜩 있잖아? 우…, 우에엑!”위이잉~! 안녕, 난 똥파리야. 사람들은 참 이상해. 똥이 더럽다고 피하기만 하는데, 사실 똥은 우리 똥파리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정말 중요하게 쓰인다고. 똥이 뭐가 중요하냐고? 못 믿겠다고? 그럼 지금부터 날 따라와 봐.똥, ...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제 아가미에는 차가운 바닷물 쪽에서 몸 안쪽으로 들어오는 차가운 혈관과 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가는 따뜻한 혈관이 짝을 이루어 붙어 있거든요. 그래서 몸 안으로 들어오는 차가운 피가 따뜻한 혈관과 맞닿아 따뜻하게 데워질 수 있답니다.그게 네가 빨리 움직이는 것과 관련이 있니? 그럼요. ...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알 수 있다. 위 그림은 신라 시대의 유물인 연화문수막새의 일부다. 연화문수막새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서로 다른 세 점을 잡아 각각 A, B, C라고 하자. 그리고 현 AB와 현 BC의 수직이등분선을 각각 그린다. 두 수직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은 원의 중심(O)이며, 이를 이용해 반지름 r의 길이를 구할 수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이에는 자석 링이 있다. 공동창업자 아비드 슈리올은 e메일 인터뷰에서 “기둥 안쪽과 바깥쪽을 각각 감싼 자석링이 서로 밀어내면서 진동을 증폭한다”고 말했다. 그 위에 있는 선형 교류발전기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일반적인 발전기는 회전운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순간을 관찰한 사람은 드물다. 종이가 아니라 변형 가능한 물질로 만든 뫼비우스의 띠는 바깥쪽 면과 안쪽 면이 따로 있는 보통의 띠로 풀리기도 한다.2010년 10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 및 이론물리학과 레이먼드 골드스타인 교수 연구팀은 뫼비우스 띠처럼 면이 1개뿐인 비누막이 앞면과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건이 있었다. 이때 목성과 토성 사이의 역학 관계가 변하며 천왕성과 해왕성이 태양계 바깥쪽으로 날아가 버렸고 둘의 운명(순서)도 바뀌었다. 현재 ‘니스 모델’이라고 불리는 태양계 형성 가설이다.그래서일까. 해왕성은 천왕성과 유사한 점이 많다. 맨틀이 ‘얼음’ 형태의 가스형 행성이고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미국 서부의 끝자락이자, 태평양을 마주한 인구 83만 명의 항구도시 샌프란시스코. 이곳은 영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 촬영지이기도 한 골든게이트브리지(금문교)를 찾는 관광객들로 늘 북적이는 도시다. 여기서 지하철을 30분만 타고 동쪽으로 이동하면, 분위기가 사뭇 다른 작은 마을이 나온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않는 진주표면에 주목했어요. 진주는 총 3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어요. 그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의 표면을 ‘진주층’이라 하지요.진주층은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보다도 훨씬 얇은 탄산칼슘 층 수천 장이 겹쳐 있는 형태예요. 집을 지을 때 벽돌 사이의 경계가 벽돌 중간에 오도록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