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권
환경
d라이브러리
"
대기권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갖는다)들은 모두 전하의 값만 다르고 질량을 비롯한 성질이 극히 비슷한 한 무리이다
대기권
외역(外域)에서 우주를 관측하는 망원경 구체적으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口徑) 24m의 광학망원경 지구를 덮고 있는 대기를 가시광선영역(可視光線領域)이나 전파 영역의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멀리 지구에서 온 신참내기를 환영해 주기 위해 깜짝 선물을 준비해줬다. 선물은 내가
대기권
에 진입하는 순간부터 착륙 1분전까지의 과정을 찍은 사진이었다. 역사상 이런 일은 처음이라고 한다.나는 ‘바이킹의 후예’답게 땅에 닿기 직전 역추진 로켓을 작동시키며 멋지게 착륙했다. 착륙 직후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식물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오렌지색 엷은 띠는 대류권이다. 대류권은 지구
대기권
중 가장 낮은 층으로 밀도가 높다. 유일하게 숨을 쉴 수 있는 대기층이기도 하다. 대류권 바로 위로 오렌지색과 푸른색 띠 사이는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인 대류권계면이다. 오른쪽 위로 수줍은 듯 살짝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북부도시 코스타나이 남동쪽 382km지점에서 서쪽으로 420km이나 떨어진 지점에 착륙했다.
대기권
진입 직후 자세 조정에 실패해 예상 지점을 크게 벗어난 지역에 떨어진 것이다. 구조 직후 이 씨는 우리말로 “정말 멋진 경험이었다. 지금까지 지켜봐주셔서 고맙다”고, 러시아어로는 “지구에 다시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함께 핼리혜성이 모혜성이다. 핼리혜성이 지나가면서 우주공간에 뿌린 부스러기가 지구
대기권
에서 불타면서 별똥별이 된다. 올해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의 예상 극대 시각은 새벽 3시다. 물병자리 에타 별 근처를 중심으로 한 시간에 최대 70개의 별똥별을 볼 수 있다. 유성은 보통 새벽에 잘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추진모듈은
대기권
에서 모두 타 없어지고 귀환모듈만 지구로 돌아온다.착륙 23분 전.
대기권
에 진입하기 위해 엔진을 점화하면 귀환모듈은 초속 7.9km로 지구를 향해 돌진한다. 고도 120km 상공에서 귀환모듈의 외벽은 1500~2000℃까지 올라간다. 모듈 내부의 온도는 약 40℃. 온몸을 짓누르는 최대 4.5G의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해군은 고장난 첩보위성이
대기권
에 진입하기 직전 미사일로 이를 격추했다. 해군이 사용한 마시일은 북태평양에 위치한 순양함에서 발사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0.6m급 광시야 망원경을 이용해 격추 전 첩보위성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 ...
아리랑 1호야, 이젠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18일 기준). 그러면 저는 자연적으로 조금씩 고도가 낮아지게 돼요. 아마 46년 뒤에는 지구
대기권
으로 들어와 불타 없어지게 될 거예요. 저의 불꽃 같은 삶이 인공위성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마지막 인사를 할게요. 모두 안녕히 계세요~! 치칙…, 치칙…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다 표면에 따라 다른 값을 보인다 식생의 알베도는 맨땅이나 모래의 그것보다 낮다지구
대기권
내에서 비행 속도가 마하 4 이상인 고속비행을 극초음속비행이라고 말한다 참고로 지구저궤도에 인공위성이 궤도비행을 하려면 마하수가 25정도를 요구하는데 이런 때는 궤도속도 8km/sec라고 표현하지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전 고층대기의 풍속이나 이온층의 밀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뒤 완전 자동상태로
대기권
에 돌입한다”며 “기계적인 고장이 라기보다는 대기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해서 생긴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다.러시아의 50년 우주개발 역사 동안 큰 사고는 없었지만 이런 위험이 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