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관계
혼인
부부생활
결혼
d라이브러리
"
결혼생활
"(으)로 총 329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전자의 아버지인 J.J.톰슨은 어떤 사람인가. 또 그는 어떻게 전자를 발견할 수 있었을까. 전자 발견에 얽힌 이야기와 톰슨의 위대한 업적을 살펴보자.J. J. 톰슨(Joseph John Thomson, 톰슨은 조지프라고 불리지 않고 제이 제이로 불렸다고 함)은 1856년 12월 18일 맨체스터 교외에 있는 치섬힐에서 출생했다.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인간과 그 생김새가 너무도 비슷해 그냥 지나쳐버릴 수 없는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적도 근처의 밀림 속에 사는 이 거대 유인원을 연구하기 위해 수십년을 정글속에서 고독과 싸우며 보낸 세 사람이 있다. 공교롭게도 그들 모두는 여성이다. 또 전설적인 인류학자 루이스 리키박사의 권유로 유 ... ...
Ⅰ 포항공대 3가지 자랑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①학생들의 천국 교육비1위, 최고의 연구시설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혜택을 누리는 대학생은 바로 포항공대생이다. 학생 모두가 수업료를 면제받는 사실말고도 1년 동안 학생 한사람이 받는 교육비는 2천9백13만원, 도서구입비는 1백59만원으로 한국에선 단연 독보적이다. 우리나라 대학 평균 교육 ... ...
1. 기억도 여러가지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기억은 분류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매일 보는 책의 단어뿐 아니라 테니스와 같은 운동 감각도 기억의 대상이다.기억은 인간이 가진 가장 중요한 정신 기능의 하나다. 만일 자신이 경험하고 배운 것을 기억하지 못했다면 인간은 오늘날의 문명을 이룩하지 못하고 하등 동물과 다름없 ... ...
Ⅲ. 포항공대생 의식조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과학동아는 지난 10월 포항공대신문사와 더불어 포항공대생 1백52명을 대상으로 의식, 대학생활 등 모두 20개 항목에 걸쳐 설문을 실시했다. 이번 설문은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해킹과 CUG폐쇄 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그 내용을 간추려 살펴보기로 하자. ①과학영재는 노력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결혼적령기에 접어든 여성이 혼인과 임신, 그리고 출산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생식내분비 계통에 질병이 생길 수 있다. 나이든 미혼 남성은 심한 정신적 질환에 시달리기도 한다. '때를 놓친' 젊은 사람들에게 찾아오는 이 '병'은 단순한 스트레스에서 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하지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최근 교육부는 'IQ가 1백40이상인 학생에게 월반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IQ만이 지능이 아니라는 주장이 여러 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양한 직업만큼이나 인간의 능력은 무한한다. 이제 IQ신드롬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으로 자신을 돌아보자.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라는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제1조 남극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고 군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한다” 는 명문으로 시작되는 남극조약은 국가간에 끊임없이 발생하는 영유권 분쟁을 말리는데 성공했다. 남극은 많은 국가들이 새로운 영토 확장을 위해 뛰어들어 2차대전 이후 최대의 무혈전쟁터와 같았다. 이 전쟁에서 표적이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새해가 밝았다. 매년 이 맘 때면 누구나 1년 계획을 세우고 한해를 설계한다. 그동안 종이 위에다 만들어온 계획표를 이번에는 워드프로세서로 만들어보자.한 해가 시작될 무렵이면 너도나도 일년 계획표를 짜느라 분주한 나날을 보낸다."올해는 운전면허를 꼭 따야지""승진시험에 붙었으면…""올해 ... ...
항생제 개발의 문 연 설파제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상처부위를 감염시켜 환자를 괴롭혔던 박테리아. 독일 과학자 도마크의 천재성과 사명감이 항균제 개발의 활로를 열였다. 설파제는 페니실린의 발견에도 커다란 기여를 했다.1865년 영국 글래스고대 외과교수 조지프 리스터(Joseph Lister)는 페놀에 담근 붕대로 상처 부위를 소독, 이 부위를 통해 병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