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수학계에 산타가 나타났다!? 70년 만에 풀린 등각선 문제수학동아 l2021년 12호
- n차원에서 등각선이 최대로 존재하는 그래프의 구조를 찾고, 이를 이용해 등각선의 최대 개수를 구할 수 있는 방정식을 찾았습니다. 한티어스가 3차원 등각선 문제를 푼지 약 70년 뒤 였지요. 자오 교수는 2019년 대학생들을 위한 MIT 수학과 여름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해 이 문제를 소개했어요. MIT ... ...
- [특집] 수학자가 무한을 그리는 방법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무한을 정의하기 위해 실수, 자연수와 같이 개수가 무한한 집합을 눈여겨보기 시작했소. 그러다 무한의 신기한 성질을 발견했지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사고 실험으로 그 성질을 알려주겠소. 일명 ‘무한호텔’이오. 만약 호텔의 모든 객실에 손님이 있어 빈방이 없을 때, 또 ... ...
- [수학체험실] 정삼각형에 꽂아요! 육팔면체 연필꽂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입체도형이다. 두 종류 이상의 정다각형으로 이뤄져 있고,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모두 같으며, 총 13개가 있다. 오늘의 주인공인 육팔면체는 가장 간단한 준정다면체로,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으로 이뤄져 있고 한 꼭짓점에 정삼각형 2개, 정사각형 2개가 교대로 모여 있다. 정육면체와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봤을 때 분자의 구조가 다르다는 점이다.이렇게 분자를 구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개수가 같지만, 구조가 다른 물질을 이성질체라 부른다. (S)-리모넨과 (R)-리모넨은 거울상 이성질체에 해당한다. 두 이성질체가 마치 사이에 거울을 두고 비춘 것처럼 반대 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뜻이다. 거울상 ... ...
- [특집] 무한을 셀 수 있다고? 마법의 일대일 대응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겉으로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0.3435와 0.3436 사이에는등 자연수의 개수보다 많은 실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수나 무리수의 경우에는 자연수와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아 집합의 크기를 가늠할 수 없는 ‘셀 수 없는 무한집합’이라고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경기도 부천의 한 건물. 문을 열자 세 마리의 고양이가 기자를 반겼어요. 라디에이터 위에서 나른하게 낮잠 자는 고양이, 집사의 다리에 몸을 부 ... 좋겠어요. 현재는 ‘인간과 고양이’를 주제로 작품을 만들고 있는데 전시하기엔 아직 개수가 부족해요. 부지런히 더 만들 예정이랍니다 ... ...
- [수콤달콤 연구소의 비법노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입체도형 색칠하고 돌리고 펼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움직이면 전개도가 다시 입체도형이 되지요. 5. 밑면과 옆면을 다른 색깔로 정해 모양, 개수 등 특징을 비교해 보세요. 목록 탭에서 ‘정다면체’를 클릭한 뒤 정육면체, 정팔면체 등 각기둥 외에도 다양한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확인할 수 있어요 ... ...
- [기획] 수학 교육 강화, Yes or No?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찬성 / 지금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최대 목표는 학습 내용의 양, 즉 학습 요소의 개수를 줄이는 데 있었습니다. 그러나 학습 내용의 양을 줄이는 것이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의 감소로 이어졌다는 자료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번에 수학 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모든 학생을 인공지능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하며, 그 수열의 모든 항을 덧셈이나 뺄셈으로 연결한 것을 급수라고 합니다. 이중 항의 개수가 무한히 많은 것을 무한급수라고 부릅니다. 무한급수에 포함된 수많은 항을 10개 또는 100개씩 분리한 다음, 병렬로 연결된 CPU에 각각 넣으면 좀 더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주율 계산에 쓰는 ... ...
- [특집] 수학의 신이 꼽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모양으로 배치했을 때 물건의 총 개수를 ‘삼각수’, 사면체 모양으로 배치했을 때의 총 개수를 ‘사면체수’라고 불렀어. 오른쪽 그림처럼 1, 3, 6, 10 등이 삼각수지. 삼각수는 자연수를 차례로 더했을 때 나오는 합으로 삼각형 모양이 만들어지는 재미난 성질이 있어. 게다가 10은 10보다 작은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