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문제 해결’, ‘외적 문제 해결’을 종합하는 개념입니다. 이중 ‘내적 문제 해결’은 두 가지 이상의 수학 개념과 원리를 종합적으로 연결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교육부가 꼽은 킬러문항 중에는 여러 개념이 연결돼 출제됐다는 이유로 선정된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앞서 이야기한 세는 것, 계산하는 것, 재는 것도 아니고 좀 더 추상적인 개념이지만, 마찬가지로 수학적 대상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군론은 보이지 않는 대상을 다루는 대표적인 분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요. 인문학자 : 이렇게 다양한 수학적 대상을 다룸으로써 얻는 이점이 있을까요? 수학자 : ...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정보가 담겨있다. 정확하게는 DNA를 이루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의 네 가지 염기가 조합돼 단백질의 구성물질인 아미노산의 정보를 담는다. 이때, 염기 하나가 다른 염기로 변하면서 아미노산의 종류가 변하는 돌연변이를 미스센스 돌연변이라 부른다. 미스센스 돌연변이는 변한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doi: 10.1126/science.ade5050 기존의 컴퓨터는 0과 1, 두 가지 상태를 표현하는 ‘비트’ 계산을 수행한다. 단순하지만 사칙연산부터 논리연산까지 다양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반해 양자컴퓨터는 ‘큐비트’라는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큐비트는 0과 1이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요 원리를 개발했다. 대기만성의 감동적인 스토리 이면에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몇 가지 지점들이 있다. 이번 수상은 남들이 보기엔 비전이 없는 분야지만 꾸준히 연구를 수행해 여러 편의 논문을 쉬지 않고 발표하면서 RNA 분야의 선구자적 지위를 유지한 커리코 부사장의 인내심과, 이를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변이 장내에 오래 머무를수록 수분을 잃고 단단해진다’는 점을 이용해 대변을 일곱 가지로 분류한다. 해당 분류를 통해 대변의 형태만 알아도 변기 사용자가 변비인지, 심각한 장 질환을 앓고 있는지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스마트 변기가 대변의 형태를 학습하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도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검은색, 청록색 점을 향해 날아갔습니다. 반면 녹색, 파란색, 보라색 점 쪽으로는 날아가지 않았어요. 제프리 리펠 교수는 “피부색과 상관없이 사람의 피부에서는 붉은색 계열의 파장이 나온다”며 “모기는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냄새로 우리의 위치를 파악하고, 우리 피부가 띠는 ... ...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습득하는 것과 더불어 문제 해결, 추론, 창의 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의 6가지 수학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적혀 있다”면서, “복잡한 사고 없이 단순히 유형 공부만 해서 기계적으로 푸는 것은 수학 공부의 본질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어요. 교사 A 씨도 “기출 문제를 다시 ... ...
- 탕후루, 과학적으로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구성하는 포도당 하나만 보더라도, 물 분자(H2O)와 친한 하이드록실기(-OH)를 무려 5개나 가지고 있습니다. ➁ 130℃로 가열해 식히는 건 빠르게설탕을 재결정화할 때 가장 중요한 건 가열하는 온도와 식히는 속도입니다. 설탕물은 100℃일 때 수분이 날아가기 시작하고, 120℃일 때 끓기 시작해서 130℃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쥐어도 깨지는 계란부터 단단한 바위까지)와 촉감(미끄러운 젤리부터 거친 고무까지)을 가지고 있어, 여러 물건을 제대로 집으려면 힘과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거미의 8개나 되는 다리야말로 물건을 움켜쥘 최적의 도구라고 생각했다. 거미는 근육이 아닌 다리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